본문 바로가기
영어성경/구약-시가서-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시편 30편 10-11절 히브리어 영어 해석 및 해설: 긍휼을 베푸소서, 나의 슬픔을 기쁨으로 바꾸셨나이다

by 아!!^^라!! 2025. 4. 2.
반응형

📋 목차

 

 

1. 시편 30:10절: 여호와여 들으시고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간구의 절규: 하나님의 긍휼을 구하는 기도

반응형

히브리어 원문: שְׁמַע יְהוָה וְחָנֵּנִי יְהוָה הֱ‍ֽיֵה־עֹזֵר לִֽי׃

한국어 발음: 쉬마 아도나이 베호네니 아도나이 헤예-오제르 리

단어 분석:

히브리어 한국어 번역 설명
שְׁמַע (쉬마) 들으소서 '샤마'(듣다, 경청하다)의 명령형 남성 단수
יְהוָה (아도나이) 여호와여 하나님의 이름 'יהוה' (아도나이는 '주'라는 의미로, 하나님의 이름을 직접 발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용)
וְחָנֵּנִי (베호네니) 그리고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접속사 '베' (그리고) + '하난'(은혜를 베풀다, 불쌍히 여기다)의 명령형 남성 단수 + 1인칭 단수 접미사 (~에게 나에게)
יְהוָה (아도나이) 여호와여 하나님의 이름 'יהוה'
הֱ‍ֽיֵה (헤예) 되소서 '하야'(되다, 있다, ~이다)의 명령형 남성 단수
עֹזֵר (오제르) 돕는 자 '아자르'(돕다, 구조하다)의 능동 분사 남성 단수
לִֽי (리) 나에게 전치사 '레' (~에게) + 1인칭 단수 접미사 (~나)

 

한국어 번역: "여호와여 들으시고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여호와여 나를 돕는 자가 되소서"

영어 번역 (KJV): Hear, O LORD, and have mercy upon me: LORD, be thou my helper.

영어 번역 (NIV): Hear, LORD, and be merciful to me; LORD, be my help.”

  • Hear : 들으소서
    • 쉬마 (שְׁמַע) : 히브리어 명령형으로, 간절한 청원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단순한 '듣기'를 넘어, 하나님의 깊은 관심과 응답을 구하는 외침입니다.
  • have mercy upon me :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 베호네니 (וְחָנֵּנִי) : '하난'은 은혜, 긍휼, 자비를 의미하는 히브리어로, 죄와 고통 가운데 있는 자에게 베푸시는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나타냅니다.
  • be thou my helper : 나를 돕는 자가 되소서
    • 헤예-오제르 리 (הֱ‍ֽיֵה־עֹזֵר לִֽי) : '오제르'는 '돕는 자', '구원자'를 의미하며, 어려움 속에서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함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절히 구하는 표현입니다.

간절한 부르짖음

시편 30편 10절은 극심한 고난과 절망 속에서 하나님의 긍휼과 도우심을 간절히 부르짖는 다윗의 절규를 담고 있습니다. "들으소서(שְׁמַע, 쉬마)"라는 명령형은 단순한 요청이 아닌, 생사를 가르는 절박한 심정으로 하나님께 매달리는 간구입니다. "은혜를 베푸소서(וְחָנֵּנִי, 베호네니)""나를 돕는 자가 되소서(הֱ‍ֽיֵה־עֹזֵר לִֽי, 헤예-오제르 리)"라는 반복적인 호소는 다윗의 절박함과 전적인 의존심을 강조합니다.

 

해설:

시편 30편 10절은 다윗이 깊은 고난 가운데 하나님께 드리는 간절한 기도입니다. '쉬마 아도나이'(여호와여 들으소서)는 단순히 소리를 듣는 것을 넘어, 다윗의 고통과 탄원을 깊이 헤아려 주시기를 구하는 호소입니다. '베호네니'(내게 은혜를 베푸소서)는 다윗이 자신의 공로나 자격이 아닌, 오직 하나님의 긍휼만을 의지하는 겸손한 태도를 보여줍니다. '헤예-오제르 리'(나를 돕는 자가 되소서)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인간의 힘으로는 벗어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전적으로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는 믿음의 표현입니다. 이 구절은 고난 앞에서 인간의 무력함을 깨닫고, 하나님의 긍휼과 도우심을 간절히 구하는 것이 신앙의 본질임을 가르쳐줍니다.

 

전문가 해설: 시편 30편 10절은 고난 가운데 드리는 기도의 모범을 제시합니다. 다윗은 자신의 고통을 숨기거나 포장하지 않고, 솔직하게 하나님께 아뢰며 긍휼을 구합니다. 이는 진정한 기도는 감정의 토로뿐 아니라, 하나님의 성품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하난'(은혜)과 '오제르'(도움)를 구하는 다윗의 기도는 하나님의 긍휼하심과 전능하심을 믿는 믿음의 고백이며, 고난을 통해 더욱 성숙한 신앙으로 나아가는 통로가 됩니다.

 

2. 시편 30:11절: 주께서 나의 슬픔을 변하여 춤이 되게 하시며

 

구원의 확신: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는 은혜

 

히브리어 원문: הָפַכְתָּ מִסְפְּדִי לְמָחֹול לִי פִּתַּחְתָּ שַׂקִּי וַתְּאַזְּרֵנִי שִׂמְחָֽה׃

한국어 발음: 하파흐타 미스페디 레마홀 리 피타흐타 사키 바테아즈레니 심하

단어 분석:

히브리어 한국어 번역 설명
הָפַכְתָּ (하파흐타) 주께서 바꾸셨습니다 '하파크'(돌리다, 바꾸다, 변화시키다)의 완료형 2인칭 남성 단수
מִסְפְּדִי (미스페디) 나의 슬픔을 '미스페드'(슬픔, 애곡)의 명사 + 1인칭 단수 접미사 (~나의)
לְמָחֹול (레마홀) 춤으로 전치사 '레' (~으로) + '마홀'(춤, 기쁨의 춤)
לִי (리) 나를 위하여, 나에게 전치사 '레' (~에게, ~을 위하여) + 1인칭 단수 접미사 (~나)
פִּתַּחְתָּ (피타흐타) 주께서 벗기셨습니다 '파타흐'(풀다, 벗기다, 열다)의 완료형 2인칭 남성 단수
שַׂקִּי (사키) 나의 베옷을 '삭'(베옷, 슬픔과 애통의 상징)의 명사 + 1인칭 단수 접미사 (~나의)
וַתְּאַזְּרֵנִי (바테아즈레니) 그리고 나에게 띠를 띠우셨습니다 접속사 '바브' (그리고) + '아자르'(띠를 띠우다, 무장시키다)의 바브 계속법 미완료 2인칭 남성 단수 + 1인칭 단수 접미사 (~나에게)
שִׂמְחָֽה (심하) 기쁨으로 '심하'(기쁨, 즐거움)의 명사

 

한국어 번역: "주께서 나의 슬픔을 변하여 춤이 되게 하시며 나의 베옷을 벗기고 기쁨으로 띠 띠우셨나이다"

영어 번역 (KJV): Thou hast turned for me my mourning into dancing: thou hast put off my sackcloth, and girded me with gladness;

영어 번역 (NIV): You turned my wailing into dancing; you removed my sackcloth and clothed me with joy,

  • turned my mourning into dancing : 나의 슬픔을 변하여 춤이 되게 하시며
    • 하파흐타 미스페디 레마홀 리 (הָפַכְתָּ מִסְפְּדִי לְמָחֹול לִי) : '하파크'는 '뒤집다', '변화시키다'는 의미로, 절망적인 슬픔이 기쁨의 춤으로 완전히 역전되는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를 강조합니다. '마홀'은 기쁨과 승리를 표현하는 역동적인 춤을 의미합니다.
  • put off my sackcloth, and girded me with gladness : 나의 베옷을 벗기고 기쁨으로 띠 띠우셨나이다
    • 피타흐타 사키 바테아즈레니 심하 (פִּתַּחְתָּ שַׂקִּי וַתְּאַזְּרֵנִי שִׂמְחָֽה) : '삭'은 슬픔과 애통을 상징하는 베옷으로, 하나님께서 이를 벗기셨다는 것은 슬픔의 근원을 제거하시고 완전한 회복을 주셨음을 의미합니다. '심하'는 단순한 감정을 넘어, 하나님의 구원으로 인한 충만한 기쁨과 즐거움을 나타냅니다. '띠 띠우셨다'는 표현은 기쁨으로 무장시켜 주셨다는 은유적인 표현입니다.

변화의 순간

시편 30편 11절은 10절의 간절한 기도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과 구원의 은혜를 확신하는 다윗의 믿음을 노래합니다. "주께서 바꾸셨습니다(הָפַכְתָּ, 하파흐타)"라는 완료형 동사는 이미 이루어진 구원의 은총을 선포하며, 슬픔이 춤으로, 베옷이 기쁨으로 변화되는 극적인 반전을 강조합니다. 이는 단순한 감정의 변화를 넘어, 존재의 근본적인 변화, 즉 절망에서 소망으로,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겨지는 구원의 역사를 의미합니다.

 

해설:

시편 30편 11절은 10절의 기도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님의 구원 역사와 은혜로운 변화를 선포하는 감격적인 찬양입니다. '하파흐타 미스페디 레마홀 리'(주께서 나의 슬픔을 변하여 춤이 되게 하시며)는 절망과 슬픔에 잠겨 있던 다윗의 상황이 하나님의 개입으로 인해 기쁨과 찬양으로 완전히 역전되었음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피타흐타 사키 바테아즈레니 심하'(나의 베옷을 벗기고 기쁨으로 띠 띠우셨나이다)는 슬픔의 상징인 베옷을 벗기고, 기쁨의 상징인 띠를 띠우시는 하나님의 구원 행위를 통해, 다윗에게 완전한 회복과 새로운 삶이 주어졌음을 강조합니다. 이 구절은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며 기도할 때,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는 놀라운 은혜를 경험할 수 있다는 소망을 줍니다.

 

전문가 해설: 시편 30편 11절은 구원의 확신과 기쁨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구절입니다. '미스페드'(슬픔)에서 '마홀'(춤)으로, '삭'(베옷)에서 '심하'(기쁨)로의 변화는 단순한 감정의 변화가 아닌,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로 인한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는 죄와 사망의 권세 아래 있던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죄 사함과 영생을 얻고, 슬픔에서 기쁨으로, 절망에서 소망으로 변화되는 복음의 핵심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3. 결론 및 적용

 

시편 30편 10-11절은 고난 속에서 하나님의 긍휼을 간절히 구하는 기도와 그 기도에 응답하시는 하나님의 구원 은혜를 대조적으로 보여주는 구절입니다. 다윗은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하나님께 긍휼을 구하며 매달렸고, 하나님께서는 그의 슬픔을 기쁨으로, 애통을 찬양으로 바꾸시는 놀라운 은혜를 베푸셨습니다. 이 구절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이 구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고난 중의 기도: 고난과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낙심하거나 절망하지 않고 하나님께 나아가 간절히 기도해야 합니다. 자신의 연약함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긍휼과 도우심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하나님의 긍휼: 하나님은 긍휼이 풍성하신 분이시며, 고통 가운데 부르짖는 자의 기도에 귀 기울이시고 응답하십니다. 우리의 죄와 허물에도 불구하고 은혜를 베푸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신뢰해야 합니다.
  • 변화와 회복의 은혜: 하나님은 우리의 슬픔을 기쁨으로, 절망을 소망으로 바꾸시는 변화와 회복의 은혜를 베푸십니다. 고난을 통해 연단된 믿음은 더욱 견고해지고, 하나님의 은혜를 깊이 경험하게 됩니다.
  • 감사와 찬양: 구원의 은혜를 경험한 후에는 감사와 찬양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변화된 삶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세상에 증거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마땅한 도리입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고난 속에서도 낙심하지 않고 하나님께 간구하며, 슬픔을 변하여 기쁨이 되게 하시는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를 경험하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기쁨의 춤

4. 시편 30:10-11절 현대적 적용

 

시편 30편 10-11절의 메시지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깊은 위로와 소망을 줍니다. 오늘날의 삶 속에서 이 구절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개인적인 어려움 속에서

  • 절망 극복의Source: 현대 사회는 경쟁, 스트레스, 고립 등으로 인해 절망과 우울감을 느끼기 쉽습니다. 시편 30:10-11절은 이러한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하며 긍휼을 구할 때, 변화와 회복의 은혜를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정직한 감정 토로: 기도는 감정을 포장하거나 숨기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솔직하게 자신의 어려움과 감정을 토로하는 것입니다. 시편 기자처럼 자신의 슬픔과 고통을 가감 없이 아뢰고 하나님의 위로와 도우심을 구해야 합니다.
  • 소망의 끈 붙잡기: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의 긍휼과 도우심을 믿는 믿음을 잃지 않아야 합니다. 눈앞의 현실에 압도되지 않고, 슬픔을 변하여 기쁨으로 바꾸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며 소망의 끈을 굳게 붙잡아야 합니다.

2. 공동체와 사회 속에서

  • 위로와 격려: 주변에 어려움을 겪는 이웃들에게 시편 30:10-11절의 메시지를 나누며 위로하고 격려해야 합니다. 함께 기도하고 하나님의 긍휼을 구하며, 공동체 안에서 서로 지지하고 힘이 되어주어야 합니다.
  • 사회적 책임: 개인의 고통뿐 아니라, 사회적인 아픔에도 관심을 가지고 기도하며, 하나님의 정의와 긍휼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불의와 고통으로 신음하는 사회 속에서 소망의 빛을 비추는 역할을 감당해야 합니다.
  • 긍정적 변화: 하나님의 은혜는 개인과 공동체를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시편 30:11절처럼 슬픔이 변하여 춤이 되는 변화를 기대하며,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변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3. 신앙생활 속에서

  • 진정한 예배 회복: 예배는 슬픔을 기쁨으로 변화시키시는 하나님을 경험하는 자리입니다. 형식적인 예배에서 벗어나, 마음을 토하고 하나님의 긍휼을 구하며, 변화된 삶을 찬양으로 드리는 진정한 예배를 회복해야 합니다.
  • 감사 생활 실천: 일상 속에서 작은 은혜에도 감사하며,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된 경험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감사는 믿음을 굳건하게 하고, 더 큰 은혜를 경험하는 통로가 됩니다.
  • 소망의 메시지 전파: 시편 30:10-11절의 소망의 메시지를 세상에 전파해야 합니다. 복음을 통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절망이 소망으로 바뀌는 놀라운 변화를 증거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은혜를 베푸소서"는 어떤 의미인가요? "은혜를 베푸소서" (וְחָנֵּנִי, 베호네니)는 단순히 물질적인 복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죄와 고통 가운데 있는 우리를 불쌍히 여기시고 긍휼을 베푸셔서 구원해 주시기를 간구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자비를 구하는 겸손한 기도입니다.
  • 슬픔이 춤으로 변한다는 것은 현실적인 변화인가요? 시편 30편 11절의 변화는 단순한 감정의 변화를 넘어, 삶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을 의지할 때, 마음의 평안과 기쁨을 얻고, 새로운 삶의 활력을 얻게 됩니다. 때로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해결되는 경험을 하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내면의 변화와 회복을 통해 슬픔을 이겨낼 힘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 고난이 계속될 때도 이 말씀을 붙잡을 수 있을까요? 물론입니다. 시편 30편 10-11절은 고난이 끝난 후에만 적용되는 말씀이 아니라, 고난 가운데서 더욱 간절히 붙잡아야 할 말씀입니다. 고난이 지속될 때라도 하나님의 긍휼을 구하며 인내로 기도하면, 슬픔 속에서도 기쁨을 누리고, 마침내 변화와 회복의 은혜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 이 말씀을 통해 어떻게 기도해야 할까요? 시편 30편 10-11절을 묵상하며 자신의 상황과 감정을 솔직하게 하나님께 아뢰십시오. 하나님의 긍휼을 구하고, 슬픔을 변하여 기쁨으로 바꾸시는 은혜를 간구하십시오.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고, 변화된 삶을 살아가겠다는 결단을 드리십시오. 꾸준히 기도하며 하나님의 응답을 기다리십시오.

결론적으로, 시편 30편 10-11절은 우리에게 고난 속에서 기도하며 하나님의 긍휼을 구하고, 슬픔을 변하여 기쁨이 되게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도록 초청합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소망을 잃지 않고, 하나님 안에서 참된 기쁨과 감사를 누리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이 구절을 통해 우리는 더욱 성숙한 신앙인으로 성장하고, 세상에 희망을 전하는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