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

곡우뜻과 절기와 관련된 행사

by 아!!^^라!! 2023. 4. 11.
반응형

봄의 끝을 알리는 곡우는

한국의 24 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로, 태양이 황경 30도에 이르는 때입니다.

음력으로는 3월 중순경, 양력으로는 4월 20일 또는 4월 21일 정도가 됩니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고 합니다.

곡우 one of the 24 seasonal divisions

 

1. 곡우뜻

 

 

곡우는 '씨앗 비'라는 말과 함께 '곡식을 살리는 비' 또는 '곡식을 기르는 비'라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쌀, 보리, 콩 등의 작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물기를 제공하는 비를 의미합니다.

곡우는 중국의 성종기(聖宗紀)에 기록되어 있으며, 매년 4월 20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24절기 중 곡우의 뜻은 봄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입니다.

곡우는 24 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로 양력으로는 4월 20일 즈음이고 음력으로는 3월 중순 무렵입니다.

곡우가 되면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되어 볍씨를 담그고 못자리를 만들기도 합니다.

반응형

 

 

2. 전통 풍습

 

곡우와 관련된 전통적인 풍습으로는 '곡우물 마시기'가 있습니다.

곡우물 마시기는 곡우 무렵 나무에서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라 생겨난 풍속으로

전남, 경상도, 강원도 산의 나무에 채취한 수액을 마시는 것입니다.

곡우물은 자작나무나 박달나무 수액으로 거자수라고도 하는데, 위장병이나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곡우에 비가 많이 내리면 풍년이 오고, 적게 내리면 흉년이 든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곡우에는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때이며 이 때는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집니다.

 

 

3. 관련된 음식

 

곡우와 관련된 전통적인 음식으로는 곡

우 무렵 나무에서 딴 찻잎으로 만든 '우전'이라는 차가 있습니다.

고사리, 얼갈이배추, 상추, 부추, 쑥, 취나물, 시금치, 미나리 등 다양한 산나물을 요리해 먹는 것도 일반적입니다.

 

 

 

4. 곡우의 속담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조기는 산란 때 우는 습성이 있는데 산란 직전의 곡우 무렵에 조기를 잡아야

알이 꽉 찬 조기를 잡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곡우에 비오면 풍년 든다.” 곡물이 잘 자라서 풍년이 되기를 기원하는 속담입니다.

 

 

5. 곡우와 관련된 행사

 

전남 보성군에서는 국내 최대 차(茶) 주산지인 보성군에서 유기농 보성 햇차 수확이 진행되며,

이와 관련된 행사가 열립니다.

보성군 햇차 수확행사는 4월 20일부터 5월 10일까지 보성 녹차밭에서 열립니다.

이 행사는 보성군의 녹차 문화와 전통을 알리고, 농가와 소비자의 소통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습니다.

행사 기간 동안에는 녹차밭 체험, 녹차 시음, 녹차 문화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행사에 참여하시려면 보성군 홈페이지에서 사전 예약을 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