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31장 3-4절은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변치 않는 영원한 사랑과 그들을 회복시키시겠다는 약속을 담고 있는 감동적인 구절입니다.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의 사랑과 회복의 소망을 붙잡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 두 구절의 히브리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심층적인 해설과 현대적 적용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삶에 주시는 메시지를 탐구합니다. 전문가적인 히브리어 및 영어 해석을 곁들여 깊이를 더했습니다.
📋 목차
1. 예레미야 31장 3절: 영원한 사랑과 인자함으로
변치 않는 하나님의 사랑: 과거부터 현재, 그리고 영원까지
히브리어 원문: יְהוָה מֵרָחוֹק נִרְאָה לִי וְאַהֲבַת עוֹלָם אֲהַבְתִּיךְ עַל־כֵּן מְשַׁכְתִּיךְ חָסֶד
한국어 발음: 예호바 메라호크 니르아 리 베아하바트 올람 아하브티크 알-켄 마솨흐티크 헤세드
단어 분석:
히브리어 | 한국어 번역 | 설명 |
---|---|---|
יְהוָה (예호바) | 여호와께서 | 하나님의 언약 이름, '스스로 있는 자' |
מֵרָחוֹק (메라호크) | 멀리서부터 / 예로부터 | 전치사 '민' (~로부터) + 명사 '라호크' (먼 곳), 시간적 또는 공간적인 거리 |
נִרְאָה (니르아) | 나타나시느니라 | 니팔 완료형, '라아' (보다, 나타나다)에서 유래, 자신을 드러내시는 행위 |
לִי (리) | 내게 / 그에게 (이스라엘에게) | 전치사 '르' (~에게) + 1인칭 단수 접미사 ('나' 또는 문맥상 '이스라엘'), 본문에서는 이스라엘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됨 |
וְאַהֲבַת (베아하바트) | 그리고 사랑을 | 접속사 '베' + 명사 '아하바' (사랑) 연계형, '사랑'이라는 개념 지시 |
עוֹלָם (올람) | 영원한 | 명사/형용사, 긴 시간, 영원, 끝이 없는 |
אֲהַבְתִּיךְ (아하브티크) | 내가 너를 사랑하였노라 | 1인칭 단수 완료형, '아하브' (사랑하다) + 2인칭 여성 단수 접미사,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된 사랑 |
עַל־כֵּן (알-켄) | 그러므로 | 결과를 나타내는 연결어 |
מְשַׁכְתִּיךְ (마솨흐티크) | 내가 너를 이끌었고 / 내가 너에게 베풀었고 | 1인칭 단수 완료형, '마솨흐' (끌다, 연장하다, 베풀다) + 2인칭 여성 단수 접미사, '헤세드'와 함께 쓰여 인자함을 베푸는 의미 강조 |
חָסֶד (헤세드) | 인자함으로 | 명사, 언약적 사랑, 신실함, 자비, 인자함 |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옛적에 여호와께서 나에게 나타나사 내가 영원한 사랑으로 너를 사랑하기에 인자함으로 너를 이끌었노라 하였노라"
영어 번역 (NIV): "The LORD appeared to us in the past and said: 'I have loved you with an everlasting love; I have drawn you with unfailing kindness.'"
영어 번역 (KJV): "The Lord hath appeared of old unto me, saying, Yea, I have loved thee with an everlasting love: therefore with lovingkindness have I drawn thee."
- everlasting love (에버래스팅 러브): 영원한 사랑
- Signifies God's unchanging, eternal, and unconditional love that transcends time and circumstances.
- lovingkindness / unfailing kindness / hesed (러빙카인드니스 / 언페일링 카인드니스 / 헤세드): 인자함, 변치 않는 친절, 헤세드
- Refers to God's covenantal love, mercy, and faithfulness, often demonstrated through active help and drawing His people back to Himself.
예레미야 31장 3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향해 선포하시는 사랑의 고백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옛적에" (מֵרָחוֹק, 메라호크) 부터 이스라엘에게 "나타나사" (נִרְאָה, 니르아), "영원한 사랑" (אַהֲבַת עוֹלָם, 아하바트 올람) 으로 그들을 "사랑하였노라" (אֲהַבְתִּיךְ, 아하브티크) 고 말씀하십니다. 이 영원한 사랑에 근거하여 하나님께서는 "인자함" (חָסֶד, 헤세드) 으로 그들을 "이끌었다" (מְשַׁכְתִּיךְ, 마솨흐티크) 고 선언하십니다.
해설:
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죄로 인해 심판과 포로 생활이라는 고난을 겪는 중에도, 하나님께서 그들을 버리지 않으시고 여전히 사랑하고 계심을 확인시켜 줍니다. '옛적에' 또는 '멀리서부터' 나타나셨다는 것은 아브라함을 택하시고 이스라엘을 출애굽시키셨던 과거의 구원 역사를 상기시키면서도, 현재의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이 여전히 유효함을 강조합니다. '영원한 사랑'(아하바트 올람)은 하나님의 사랑이 시간과 상황에 의해 변하지 않음을 확증하며, 이 사랑 때문에 하나님은 '인자함'(헤세드)으로 백성을 다루십니다. '이끌었다'(마솨흐티크)는 단어는 부드럽게 당기는 것뿐만 아니라, 어려움 속에서도 끈기 있게 이끌어오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나타냅니다. 이는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께로 돌아오도록 이끄시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행위입니다.
전문가 해설: 히브리어 '메라호크'는 공간적 의미의 '멀리서' 뿐만 아니라, 시간적 의미의 '오래 전부터, 옛적에'로도 번역될 수 있습니다. 문맥상 하나님께서 과거 이스라엘과 맺으신 언약과 그들을 선택하신 역사(출애굽 등)를 회상하며, 그 언약적 사랑이 변치 않았음을 선포하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아하바트 올람'에서 '올람'은 단순히 오랜 시간을 넘어 영원과 무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하나님의 사랑의 본질이 영원함을 보여줍니다.
'마솨흐'는 '끌다, 당기다'라는 기본 의미 외에 '연장하다, 계속하다'라는 의미도 내포합니다. '헤세드'와 함께 쓰일 때, 하나님께서 자신의 변함없는 인자함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계속해서 베풀어오셨다'는 뉘앙스를 강하게 풍깁니다. 즉, 죄악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자신의 '헤세드'로 그들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당신께로 '이끌어오셨다'는 깊은 신학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영어 번역의 "unfailing kindness"는 '헤세드'의 신실하고 변치 않는 속성을 잘 포착하고 있습니다.
2. 예레미야 31장 4절: 다시 세우심과 기쁨의 회복
파괴된 곳의 재건: 다시 기쁨으로 뛰놀게 될 약속
히브리어 원문: עוֹד אֶבְנֵךְ וְנִבְנֵית בְּתוּלַת יִשְׂרָאֵל עוֹד תַּעְדִּי תֻפַּיִךְ וְיָצָאת בְּמַחוֹל מְשַׂחֲקִים
한국어 발음: 오드 에브네크 베니브네트 베툴라트 이스라엘 오드 타디 투파이크 베야차트 베마홀 메사하킴
단어 분석:
히브리어 | 한국어 번역 | 설명 |
---|---|---|
עוֹד (오드) | 또 다시 | 부사, 다시, 아직, 더 이상 |
אֶבְנֵךְ (에브네크) | 내가 너를 세우리라 | 1인칭 단수 미완료형, '바나' (짓다, 세우다) + 2인칭 여성 단수 접미사, 하나님의 미래 행위 |
וְנִבְנֵית (베니브네트) | 그리하면 네가 세워지리라 | 접속사 '베' + 니팔 완료형, '바나' (짓다, 세우다) + 2인칭 여성 단수 접미사, 하나님의 행동의 결과 |
בְּתוּלַת (베툴라트) | 처녀 | 명사 '베툴라' (처녀) 연계형, 이스라엘 공동체를 비유적으로 지칭 |
יִשְׂרָאֵל (이스라엘) | 이스라엘아 | 고유 명사, 이스라엘 백성 |
עוֹד (오드) | 또 다시 | 반복, 미래의 회복 강조 |
תַּעְדִּי (타디) | 네가 장식하리라 | 2인칭 여성 단수 미완료형, '아다' (장식하다, 꾸미다)에서 유래, 회복 후의 기쁨과 축제 분위기 |
תֻפַּיִךְ (투파이크) | 네 소고(탬버린)로 | 명사 '토프' (소고, 탬버린) 복수 + 2인칭 여성 단수 접미사, 기쁨과 축제의 악기 |
וְיָצָאת (베야차트) | 그리고 네가 나아가리라 | 접속사 '베' + 완료형 연속법, '야차' (나가다)에서 유래, 회복된 상태에서의 행동 |
בְּמַחוֹל (베마홀) | 춤추는 중에 / 춤추는 무리 속에서 | 전치사 '베' (~안에, ~으로) + 명사 '마홀' (춤) 연계형, 공동체의 기쁨 표현 |
מְשַׂחֲקִים (메사하킴) | 즐거워하는 자들의 | 분사 복수형, '사하크' (웃다, 놀다, 즐거워하다)에서 유래, 기쁨과 환희에 찬 사람들 |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처녀 이스라엘아 네가 다시 세움을 입을 것이요 네가 다시 네 탐바린을 들고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춤추며 나아오리라"
영어 번역 (NIV): "I will build you up again and you will be rebuilt, O Virgin Israel. You will take up your timbrels again and go out to dance with the joyful."
영어 번역 (KJV): "Again I will build thee, and thou shalt be built, O virgin of Israel: thou shalt again be adorned with thy tabrets, and shalt go forth in the dances of them that make merry."
- Virgin Israel (버진 이스라엘): 처녀 이스라엘
- Symbolizes the covenant community of Israel, here possibly emphasizing a renewed, purified state after judgment, or representing the ideal, desired state of Israel.
예레미야 31장 4절은 3절의 사랑의 약속에 이어 구체적인 회복의 모습을 제시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처녀 이스라엘아" (בְּתוּלַת יִשְׂרָאֵל, 베툴라트 이스라엘) 라고 부르시며, 그들이 "다시 세움을 입을 것" (וְנִבְנֵית, 베니브네트) 이라고 약속하십니다. 이는 단순히 건물을 다시 짓는 것을 넘어 공동체 전체가 회복될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네가 다시 네 탐바린(소고)을 들고" (תַּעְדִּי תֻפַּיִךְ, 타디 투파이크)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춤추며 나아오리라" (וְיָצָאת בְּמַחוֹל מְשַׂחֲקִים, 베야차트 베마홀 메사하킴) 는 약속은 회복 후의 큰 기쁨과 축제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해설:
포로로 끌려가 나라와 성전이 파괴되고 모든 소망이 끊어진 듯한 상황에서, 하나님께서는 '처녀 이스라엘'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시며 순결하고 회복된 이스라엘의 미래 모습을 바라보게 하십니다. '다시 세움을 입으리라'는 약속은 물리적인 재건뿐만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통한 영적인 재건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회복을 의미합니다. 이 회복은 절망과 슬픔의 시기를 끝내고, '소고'와 '춤'으로 대표되는 고대 이스라엘의 가장 큰 기쁨과 축제의 표현으로 이어집니다.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얻게 되는 진정한 기쁨, 공동체가 함께 누리는 회복의 환희를 상징합니다. 이 약속은 단순히 과거 이스라엘의 역사적 회복을 넘어, 죄와 사망으로 인해 파괴된 인간 영혼과 공동체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얻게 될 완전한 구원과 회복, 그리고 영원한 기쁨에 대한 예언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 해설: 4절은 3절의 '영원한 사랑'과 '인자함'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될 것인가를 보여줍니다. 'אֶבְנֵךְ וְנִבְנֵית' (에브네크 베니브네트 - 내가 너를 세우리라 그리하면 네가 세워지리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주도적인 행위('내가 세우리라' - 능동태)와 그 결과로 나타나는 백성의 회복('네가 세워지리라' - 니팔 수동태)을 동시에 강조합니다. 이는 회복이 인간의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능력으로 가능함을 나타냅니다.
'처녀 이스라엘'이라는 표현은 포로 생활로 인해 공동체의 정체성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하나님께서 그들을 여전히 순결한 언약 백성으로 여기시고 관계를 회복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탐바린'과 '춤'은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 행위에 대한 감사와 찬양의 표현으로서 이스라엘 종교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출 15:20, 시 150:4). 따라서 이 구절은 단순한 물리적 재건을 넘어, 파괴되었던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가 회복되어 영적 기쁨과 예배가 회복될 미래를 약속합니다. 영어 번역 "go out to dance with the joyful"은 회복된 공동체 속에서 함께 기쁨을 나누는 모습을 잘 표현합니다.
3. 결론 및 적용
예레미야 31장 3-4절은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과 완전한 회복에 대한 약속을 선포합니다. 죄로 인해 멸망의 위협에 처하고, 심지어 포로로 끌려갔던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은 변치 않는 사랑으로 다가가시고, 그 사랑의 힘으로 그들을 다시 세우고 기쁨을 회복시켜 주시겠다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동일한 소망과 위로를 줍니다.
예레미야 31장 3-4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하나님 사랑의 불변성: 우리의 실패나 죄악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영원한 사랑과 인자함으로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이 변치 않는 사랑이 우리의 소망의 근거입니다.
- 하나님의 회복 능력: 아무리 깊은 절망과 파괴 속에서도 하나님은 우리를 다시 세우시고 회복시키실 능력이 있으십니다. 개인의 삶, 가정, 공동체, 심지어 사회의 회복도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 회복 후의 기쁨: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고 삶이 재건될 때, 진정한 기쁨과 감사가 넘치게 됩니다. 이 기쁨은 시련 속에서도 소망을 잃지 않고 하나님을 신뢰하게 하는 힘이 됩니다.
- 하나님께로 돌아옴: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과 회복 약속은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께로 나아가도록 이끄는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됩니다. 인자함으로 이끄시는 하나님께 순종함으로 반응해야 합니다.
우리는 예레미야 31장 3-4절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에 힘입어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소망을 잃지 않고, 하나님께서 주시는 회복을 기대하며, 기쁨과 감사로 하나님을 예배하고 섬기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은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나요? 일차적으로는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언약적 사랑을 강조하지만, 신약의 관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믿는 모든 자에게 확장 적용됩니다.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모든 민족을 포함합니다.
- 제가 죄를 지어도 하나님의 사랑은 변함없나요? 네, 하나님의 사랑 자체는 변함이 없습니다. 그러나 죄는 우리가 그 사랑 안에 온전히 거하고 그 사랑의 복을 누리는 것을 방해합니다. 회개를 통해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다시 세워진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나요? 예레미야 당시에는 물리적인 땅과 성읍의 재건, 공동체의 회복을 의미했지만, 영적으로는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내면의 변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새 언약 안에서의 영적 이스라엘(교회)의 온전한 세움을 포함합니다.
- 현재 삶에 어려움이 많다면 이 구절은 어떻게 위로가 될 수 있나요? 이 구절은 가장 절망적인 포로기 백성에게 주어진 약속입니다. 현재의 어려움이 아무리 크더라도, 영원한 사랑으로 우리를 이끄시고 반드시 회복시키시는 하나님이 계심을 기억하며 소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예레미야 31장 3-4절은 우리가 어떤 상황에 있든지 하나님의 변치 않는 영원한 사랑 안에 있음을 확증하며, 그 사랑에 힘입어 죄와 절망에서 벗어나 회복되고 기쁨으로 가득한 삶을 살 수 있음을 약속합니다.
이 말씀을 깊이 묵상하고,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을 붙잡아 소망 가운데 나아가십시오.
'영어성경 > 구약-대예언서-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애가 에스겔 다니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혼의 갈증을 해소하는 하나님의 값없는 초청 (히브리어/영어 해설): 이사야 55장 1-2절 (2) | 2025.04.26 |
---|---|
이사야 6:8과 사무엘상 3:9 히브리어 영어 심층 해설: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두 가지 태도 (1) | 2025.04.26 |
이사야 40장 30-31절: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 - 새 힘, 독수리 날개, 지치지 않는 삶의 약속 (2) | 2025.04.23 |
이사야 43장 18-19절 히브리어 원문 영어 번역 및 해설: 새 일을 행하시는 하나님 (2) | 2025.04.12 |
예레미야애가 3장 22-23절: 히브리어 원문 심층 해설과 영어 현대적 적용 (소망, 긍휼, 신실하심) (0)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