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55장 1-2절은 하나님께서 영적으로 목마르고 굶주린 자들에게 값없이 베푸시는 풍성한 은혜와 만족을 약속하는 아름다운 구절입니다. 세상의 헛된 것을 추구하며 방황하는 이들에게 진정한 생수와 양식이 되시는 하나님께로 나아오라고 초청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 두 구절의 히브리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심층적인 해설과 현대적 적용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삶에 주시는 메시지를 탐구합니다. 전문가적인 히브리어 및 영어 해석을 곁들여 깊이를 더했습니다.
📋 목차
1. 이사야 55장 1절: 목마른 자들아 오라! 값없이 사는 생수
영적 갈증에 대한 하나님의 초청: 돈 없이 물과 양식을 얻으라
히브리어 원문: ה֥וֹי כָּל־צָמֵ֖א לְכוּ־לַמַּ֑יִם וַאֲשֶׁ֨ר אֵֽין־ל֜וֹ כֶּ֗סֶף לְכוּ־שִׁבְר֣וּ וֶֽאֱכֹ֔לוּ וּלְכ֣וּ סִבְר֣וּ בְלוֹא־כֶ֔סֶף וּבְל֖וֹא מְחִ֥יר יַ֖יִן וְחָלָֽב׃
한국어 발음: 호이 콜-차메 레쿠-라마임 바아쉐르 에인-로 케세프 레쿠-쉬브루 웨에콜루 울레쿠 쉬브루 벨로-케세프 우벨로 메히르 야인 웨할라브
단어 분석:
히브리어 | 한국어 번역 | 설명 |
---|---|---|
ה֥וֹי (호이) | 오호라, 들으라 | 감탄사/주의를 끄는 소리, 슬픔 또는 강력한 부름 |
כָּל־צָמֵ֖א (콜-차메) | 모든 목마른 자 | '콜' (모든) + '차메' (목마른), 영적으로 갈급한 모든 사람 |
לְכוּ־לַמַּ֑יִם (레쿠-라마임) | 물에게로 오라 | 명령형 '레쿠' (오라, 복수) + 전치사 '라' (~에게) + 명사 '마임' (물), 생명수이신 하나님께로 나아오라는 초청 |
וַאֲשֶׁ֨ר (바아쉐르) | 그리고 ~하는 자 | 접속사 '베' + 관계대명사 '아쉐르', 앞선 '모든 목마른 자'를 수식 |
אֵֽין־ל֜וֹ כֶּ֗סֶף (에인-로 케세프) | 돈이 없는 자 | 부정 '에인' + 전치사 '라' (~에게) + 3인칭 단수 접미사 + 명사 '케세프' (돈, 은), 물질적인 대가를 지불할 능력이 없는 자 |
לְכוּ־שִׁבְר֣וּ וֶֽאֱכֹ֔לוּ (레쿠-쉬브루 웨에콜루) | 와서 사 먹으라 | 명령형 '레쿠' (오라) + 명령형 '쉬브루' (사라/양식을 구하라) + 접속사 '베' + 명령형 '에콜루' (먹으라), 값없이 얻는 영적 양식 |
וּלְכ֣וּ סִבְר֣וּ (울레쿠 쉬브루) | 그리고 가서 사라/양식을 구하라 | 반복 강조, '쉬브루'의 다른 형태 (qal 부정사), 사라는 행위 강조 |
בְלוֹא־כֶ֔סֶף (벨로-케세프) | 돈 없이 | 전치사 '베' (함께) + 부정 '로' (없이) + 명사 '케세프' (돈), 대가 없음 강조 |
וּבְל֖וֹא מְחִ֥יר (우벨로 메히르) | 그리고 값 없이 | 접속사 '우' + 전치사 '베' + 부정 '로' + 명사 '메히르' (값, 대가), 대가 없음 재강조 |
יַ֖יִן וְחָלָֽב׃ (야인 웨할라브) | 포도주와 젖 | 명사 '야인' (포도주) + 접속사 '베' + 명사 '할라브' (젖), 풍성하고 만족스러운 영적 양식 상징 |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오호라 너희 모든 목마른 자들아 물로 나아오라 돈 없는 자도 오라 너희는 와서 사 먹되 돈 없이, 값 없이 와서 포도주와 젖을 사라"
영어 번역 (NIV): "Come, all you who are thirsty, come to the waters; and you who have no money, come, buy and eat! Come, buy wine and milk without money and without cost."
영어 번역 (KJV): "Ho, every one that thirsteth, come ye to the waters, and he that hath no money; come ye, buy, and eat; yea, come, buy wine and milk without money and without price."
- Ho! Everyone who thirsts : 오호라 모든 목마른 자들아
- A dramatic and urgent call to those in spiritual need and lacking.
이사야 55장 1절은 영적인 갈증과 결핍을 느끼는 모든 사람을 향한 하나님의 뜨거운 초청입니다. 하나님은 "모든 목마른 자" (כָּל־צָמֵ֖א, 콜-차메), 심지어 "돈 없는 자" (אֵֽין־ל֜וֹ כֶּ֗סֶף, 에인-로 케세프) 까지도 "물로 나아오라" (לְכוּ־לַמַּ֑יִם, 레쿠-라마임) 고 부르십니다. 이 초청은 단순히 목마름을 해갈하는 물뿐만 아니라, 풍성한 양식인 "포도주와 젖" (יַ֖יִן וְחָלָֽב, 야인 웨할라브) 까지 포함하며, 이 모든 것을 "돈 없이, 값 없이" (בְלוֹא־כֶ֔סֶף וּבְל֖וֹא מְחִ֥יר, 벨로-케세프 우벨로 메히르) 살 수 있다고 약속하십니다.
해설:
이사야 55장 1절은 당시 이스라엘 백성이 바벨론 포로 생활로 인해 영적으로 황폐해지고 갈급해진 상황, 또는 세상적인 방법으로 만족을 찾으려 했던 상황 속에서 선포된 메시지입니다. 하나님은 물질적인 부나 인간적인 노력으로는 결코 채워질 수 없는 영적인 갈증과 굶주림을 해결해 주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 "물"은 생명과 정결함, "포도주"는 기쁨과 풍성함, "젖"은 양육과 영양을 상징하며, 이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값없이 주어지는 영적인 축복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곧 구약의 언약 백성뿐 아니라, 죄로 인해 영적으로 파산 상태에 있는 모든 인류를 향한 구원의 초청이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될 은혜 복음의 예표입니다.
전문가 해설: 히브리어 감탄사 'ה֥וֹי' (호이)는 단순한 부름을 넘어, 경고나 슬픔, 또는 긴급성을 내포하는 강한 외침입니다. 여기서는 영적인 상태에 대한 안타까움과 더불어 구원의 시급성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כָּל־צָמֵ֖א' (콜-차메)는 모든 목마른 자를 포괄하며, 이는 특정 계층이나 자격을 갖춘 자만이 아닌, 누구나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לְכוּ־לַמַּ֑יִם' (레쿠-라마임)에서 복수 명령형 'לְכוּ' (레쿠)는 개인뿐 아니라 공동체를 향한 초청이며, 'מַּ֑יִם' (마임 - 물)은 복수 형태로 쓰여 하나님의 은혜가 풍성하고 다방면적임을 시사합니다.
가장 핵심적인 표현은 'בְלוֹא־כֶ֔סֶף וּבְל֖וֹא מְחִ֥יר' (벨로-케세프 우벨로 메히르)입니다. 이는 '돈 없이, 값 없이'를 이중으로 강조하여, 하나님의 구원과 영적인 공급은 인간의 행위나 공로가 아닌,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로만 가능하다는 복음의 핵심을 명확히 합니다. 영어 성경에서 'buy and eat'와 'without money and without cost'의 병치는, 세상적인 '구매'의 개념을 하나님의 '은혜로 받는 것'으로 전복시키는 강력한 수사적 표현입니다.
2. 이사야 55장 2절: 헛된 것에 돈을 쓰지 말라
세상의 만족 vs 하나님의 만족: 영혼의 참된 양식은 하나님께 있다
히브리어 원문: לָ֤מָּה תִשְׁקְל֣וּ כֶ֔סֶף בְּל֖וֹא לֶ֣חֶם לָ֑חֶם וִיגִיעֲכֶ֖ם בְּל֥וֹא לְשָׂבְעָ֑ה שִׁמְע֨וּ שָׁמֹ֤עַ אֵלַי֙ וְאִכְלוּ־ט֔וֹב וְתִתְעַנַּ֥ג בַּדֶּ֖שֶׁן נַפְשְׁכֶֽם׃
한국어 발음: 라마 티쉬켈루 케세프 벨로 레헴 라헴 비이기아켐 벨로 레사브아 쉬메우 샤모아 엘라이 웨이클루-토브 웨팃아나그 바데쉔 나프쉐켐
단어 분석:
히브리어 | 한국어 번역 | 설명 |
---|---|---|
לָ֤מָּה (라마) | 어찌하여, 왜 | 의문사, 헛된 행위에 대한 질문/책망 |
תִשְׁקְל֣וּ (티쉬켈루) | 너희가 달아주느냐/지불하느냐 | 2인칭 남성 복수 미완료형, '솨칼' (달다, 지불하다), 돈이나 대가를 치르는 행위 |
כֶ֔סֶף (케세프) | 돈을 | 명사, 물질적인 자원이나 노력의 대가 |
בְּל֖וֹא לֶ֣חֶם לָ֑חֶם (벨로 레헴 라헴) | 양식이 되지 못할 것을 위하여 | 전치사 '베' + 부정 '로' + 명사 '레헴' (빵) + 전치사 '라' + 2인칭 복수 접미사, 참된 만족을 주지 못하는 것 |
וִיגִיעֲכֶ֖ם (비이기아켐) | 그리고 너희 수고를 | 접속사 '베' + 명사 '이기아' (수고, 노력) + 2인칭 복수 접미사, 인간적인 노력 |
בְּל֥וֹא לְשָׂבְעָ֑ה (벨로 레사브아) | 배부르게 못할 것을 위하여 | 전치사 '베' + 부정 '로' + 전치사 '레' + 명사 '소브아' (만족, 포만감), 참된 만족을 주지 못하는 결과 |
שִׁמְע֨וּ שָׁמֹ֤עַ אֵלַי֙ (쉬메우 샤모아 엘라이) | 너희는 나에게 듣고 들으라 | 명령형 '솨마' (듣다) 복수 + 동사 원형 '솨모아' (듣다), 강조 구문, 집중하여 들으라는 강력한 명령 |
וְאִכְלוּ־ט֔וֹב (웨이클루-토브) | 그리고 좋은 것을 먹으라 | 접속사 '베' + 명령형 '아칼' (먹다) 복수 + 형용사 '토브' (좋은),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얻는 참된 양식과 기쁨 |
וְתִתְעַנַּ֥ג (웨팃아나그) | 그리고 너희 자신을 기쁘게 하리라 | 접속사 '베' + 2인칭 복수 재귀형 미완료, '아나그' (기뻐하다, 즐거워하다), 하나님 안에서 누리는 깊은 만족과 기쁨 |
בַּדֶּ֖שֶׁן נַפְשְׁכֶֽם׃ (바데쉔 나프쉐켐) | 기름진 것으로 너희 영혼이 | 전치사 '베' + 명사 '데쉔' (기름짐, 풍요로움) + 명사 '네페쉬' (영혼, 자신) + 2인칭 복수 접미사, 영혼의 깊은 만족과 풍요로움 |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너희가 어찌하여 양식이 아닌 것을 위하여 은을 달아 주며 배부르게 못할 것을 위하여 수고하느냐 나를 듣고 들으라 그리하면 너희가 좋은 것을 먹을 것이며 너희 자신들이 기름진 것으로 즐거움을 얻을 것이니라"
영어 번역 (NIV): "Why spend money on what is not bread, and your labor on what does not satisfy? Listen, listen to me, and eat what is good, and you will delight in the richest of fare."
영어 번역 (KJV): "Wherefore do ye spend money for that which is not bread? and your labour for that which satisfieth not? Hearken diligently unto me, and eat ye that which is good, and let your soul delight itself in fatness."
- Why spend money on what is not bread : 왜 양식이 아닌 것에 돈을 쓰느냐
- A rhetorical question challenging the wisdom of investing resources (material or spiritual) in things that do not provide true, lasting sustenance or satisfaction
이사야 55장 2절은 1절의 초청에 이어, 세상의 헛된 것을 추구하는 삶의 어리석음을 지적합니다. "양식이 아닌 것" (בְּל֖וֹא לֶ֣חֶם לָ֑חֶם, 벨로 레헴 라헴) 을 위해 "돈을 달아주고" (תִשְׁקְל֣וּ כֶ֔סֶף, 티쉬켈루 케세프), "배부르게 못할 것" (בְּל֥וֹא לְשָׂבְעָ֑ה, 벨로 레사브아) 을 위해 "수고하는" (וִיגִיעֲכֶ֖ם, 비이기아켐) 행위는 결국 허무할 뿐임을 경고합니다. 그리고는 다시 한번 "나에게 듣고 들으라" (שִׁמְע֨וּ שָׁמֹ֤עַ אֵלַי֙, 쉬메우 샤모아 엘라이) 고 촉구하며, 그 결과로 "좋은 것을 먹고" (וְאִכְלוּ־ט֔וֹב, 웨이클루-토브) "기름진 것으로 즐거움" (בַּדֶּ֖שֶׁן נַפְשְׁכֶֽם, 바데쉔 나프쉐켐) 을 얻게 될 것이라고 약속합니다.
해설:
이 구절은 인간이 본능적으로 만족과 행복을 추구하지만, 종종 잘못된 곳에서 그것을 찾는다는 사실을 날카롭게 꼬집습니다. 세상의 부, 명예, 쾌락 등은 일시적인 만족은 줄 수 있지만, 영혼의 깊은 갈증과 굶주림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주지 못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헛된 것에 귀중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멈추고, 참된 생명과 만족의 근원이신 당신께로 돌아오라고 호소하십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은 단순한 청취를 넘어 순종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 순종을 통해 우리는 비로소 영혼의 가장 깊은 곳까지 채워지는 풍성한 만족과 기쁨을 누릴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전문가 해설: 'לָ֤מָּה' (라마)는 강한 의문사로, 헛된 추구에 대한 책망과 안타까움을 동시에 담고 있습니다. 'תִשְׁקְל֣וּ כֶ֔סֶף' (티쉬켈루 케세프 - 돈을 달아주느냐)는 고대에 무게로 돈을 지불했던 방식을 반영하며, 물질적인 자원이나 힘든 노력을 투입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בְּל֖וֹא לֶ֣חֶם לָ֑חֶם' (벨로 레헴 라헴 - 양식이 되지 못할 것)은 참된 생명과 힘을 주지 못하는 것을 비유하며, 세상의 헛된 가치를 가리킵니다. 'שִׁמְע֨וּ שָׁמֹ֤עַ אֵלַי֙' (쉬메우 샤모아 엘라이)는 '솨마' 동사의 명령형과 원형 부정사가 결합된 강조 용법으로, '반드시 듣고 들으라', '전심으로 경청하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순종적인 청종이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 필수적인 통로임을 보여줍니다.
'וְתִתְעַנַּ֥ג בַּדֶּ֖שֶׁן נַפְשְׁכֶֽם׃' (웨팃아나그 바데쉔 나프쉐켐)에서 'תִתְעַנַּ֥ג' (팃아나그)는 재귀형으로 '스스로 즐거워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하나님 안에서 누리는 만족이 외적인 환경이 아닌 내면에서 샘솟는 것임을 암시합니다. 'בַּדֶּ֖שֶׁן' (바데쉔)은 '기름짐', '풍요로움'을 뜻하며, 이는 단순히 부족함이 없는 상태를 넘어, 영혼이 활력이 넘치고 충만하며 만족스러운 상태를 묘사합니다. 영어 성경의 'richest of fare'나 'fatness'는 이러한 풍성함과 만족감을 잘 나타냅니다.
3. 결론 및 적용
이사야 55장 1-2절은 죄와 세상의 헛된 가치 추구로 인해 영적으로 목마르고 지친 모든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값없는 구원과 만족의 초청장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노력이나 공로가 아닌, 오직 당신의 은혜로만 얻을 수 있는 참된 생명과 양식을 약속하십니다.
이 구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중요한 메시지와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영적인 갈증을 인식하라: 우리는 세상적인 성공이나 물질로 채워지지 않는 깊은 영적인 갈증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해야 합니다. 이 갈증이야말로 하나님을 찾도록 우리를 이끄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하나님께로 나아가라: 세상의 헛된 것에서 돌이켜 참된 생수와 양식이신 하나님께 나아가야 합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그분 안에 거하는 삶을 의미합니다.
- 값없이 주시는 은혜를 붙잡으라: 구원과 영적인 만족은 우리의 자격이나 행위가 아닌, 하나님의 값없는 은혜로 주어집니다. 자랑할 것이 없으며, 오직 겸손히 하나님의 선물(예수 그리스도)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 하나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라: 영혼의 만족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순종하는 삶에서 옵니다. 말씀을 깊이 묵상하고 삶의 지침으로 삼으며, 성령의 도우심으로 순종해야 합니다.
- 참된 만족을 누리라: 세상의 헛된 것에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지 말고, 하나님 안에서 주어지는 풍성한 만족과 기쁨을 누리십시오.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만 참된 즐거움과 풍요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사야 55장 1-2절 말씀을 통해, 세상의 헛된 우물을 파는 어리석음을 버리고, 영원한 생수의 근원이신 하나님께 나아와 값없이 주시는 구원과 만족을 누리며, 그분의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물", "포도주", "젖"은 무엇을 상징하나요? 성경에서 물은 생명과 정결함, 포도주는 기쁨과 풍성함, 젖은 양육과 영양을 상징합니다. 이사야 55장에서는 하나님께서 값없이 주시는 영적인 축복, 즉 구원, 성령, 말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오는 모든 좋은 것을 의미합니다.
- "돈 없이, 값 없이"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하나님의 구원과 영적인 축복은 인간의 어떤 노력이나 공로, 물질적인 대가로 얻어지는 것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오직 하나님의 값없는 은혜(Grace)로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이는 신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을 통해 명확하게 성취됩니다.
- 세상의 "양식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하나님 외에 인간이 만족을 얻으려고 추구하는 모든 헛된 것들을 의미합니다. 물질적인 부, 명예, 쾌락, 권력, 인간적인 관계나 성과 등 하나님과의 관계 밖에서 영혼의 갈증을 채우려 하는 모든 시도를 포함합니다.
-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듣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단순한 청취를 넘어, 마음을 다해 집중하여 경청하고, 그 말씀을 삶에 적용하여 순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순종이야말로 하나님의 약속된 축복과 만족을 경험하는 통로입니다.
결론적으로, 이사야 55장 1-2절은 영원한 생수와 만족의 근원이신 하나님께로 나아와, 우리의 모든 갈증과 굶주림을 값없이 해결받으라는 은혜로운 초청입니다. 이 초청에 응답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경청하고 순종하는 삶을 통해, 우리는 세상이 줄 수 없는 참된 기쁨과 풍성함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 말씀을 붙들고, 날마다 하나님 안에서 참된 만족을 경험하십시오.
'영어성경 > 구약-대예언서-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애가 에스겔 다니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야 6:8과 사무엘상 3:9 히브리어 영어 심층 해설: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두 가지 태도 (0) | 2025.04.26 |
---|---|
이사야 40장 30-31절: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 - 새 힘, 독수리 날개, 지치지 않는 삶의 약속 (2) | 2025.04.23 |
이사야 43장 18-19절 히브리어 원문 영어 번역 및 해설: 새 일을 행하시는 하나님 (2) | 2025.04.12 |
예레미야애가 3장 22-23절: 히브리어 원문 심층 해설과 영어 현대적 적용 (소망, 긍휼, 신실하심) (0) | 2025.03.31 |
에스겔 36장 26-27절 해설: 새 마음과 새 영 - 히브리어/영어 분석 및 현대적 적용 (1) | 2025.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