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40장 30-31절은 인간의 연약함과 하나님의 무한한 능력을 대조하며,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에게 주시는 놀라운 새 힘의 약속을 선포하는 말씀입니다. 절망과 피곤함 속에서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소망의 근거가 됩니다.
본 글에서는 이 두 구절의 히브리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심층적인 해설과 현대적 적용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삶에 주시는 메시지를 탐구합니다. 전문가적인 히브리어 및 영어 해석을 곁들여 깊이를 더했습니다.
📋 목차
1. 이사야 40장 30절: 인간의 연약함
젊음과 힘에도 불구하고 찾아오는 피곤함과 넘어짐
히브리어 원문: גַּם־יִעֲפוּ נְעָרִים וְיִגְעוּ וּבַחוּרִים כָּשׁוֹל יִכָּשֵׁלוּ
한국어 발음: 감 야아푸 네아림 베이가우 우바후림 카숄 이카쉘루
단어 분석:
히브리어 | 한국어 번역 | 설명 |
---|---|---|
גַּם־ (감-) | 심지어, ~까지도 | 강조의 의미, 예상 밖의 대상을 포함시킴 |
יִעֲפוּ (야아푸) | 피곤하며 | Qal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 '야아프'(피곤하다, 지치다)에서 유래, 지속적인 피곤함 |
נְעָרִים (네아림) | 소년들, 젊은이들 | 명사 남성 복수, 힘과 에너지가 넘치는 시기의 사람들 |
וְיִגְעוּ (베이가우) | 그리고 곤비하며 | 접속사 '베' + Qal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 '야가'(수고하다, 지치다)에서 유래, 육체적, 정신적 소모로 인한 피곤함 |
וּבַחוּרִים (우바후림) | 그리고 장정들이 | 접속사 '우' + 명사 남성 복수, '바후르'(선택된 자, 힘센 젊은이)에서 유래, 체력의 전성기에 있는 사람들 |
כָּשׁוֹל (카숄) | 넘어짐 | Qal 부정사 절대형, '카숄'(넘어지다)에서 유래, 동사를 강조하는 역할 |
יִכָּשֵׁלוּ (이카쉘루) | 넘어지며 쓰러지되 | Niphal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 '카숄'(넘어지다)에서 유래, 수동적인 넘어짐, 확실하고 불가피한 결과 강조 |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소년이라도 피곤하며 곤비하며 장정이라도 넘어지며 쓰러지되"
영어 번역 (NIV): "Even youths grow tired and weary, and young men stumble and fall;"
영어 번역 (KJV): "Even the youths shall faint and be weary, and the young men shall utterly fall:"
- stumble and fall / utterly fall : 넘어지며 쓰러지되
- Indicates failure, inability to stand firm, collapse, emphasizing the inevitability of human weakness.
이사야 40장 30절은 인간의 본질적인 한계를 선포합니다. "소년" (נְעָרִים, 네아림) 과 "장정" (בַחוּרִים, 바후림) 은 인간의 힘과 능력이 절정에 달한 상태를 상징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조차 "피곤하며 곤비하며" (יִעֲפוּ וְיִגְעוּ, 야아푸 베이가우) 결국 "넘어지며 쓰러진다" (כָּשׁוֹל יִכָּשֵׁלוּ, 카숄 이카쉘루) 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어떤 인간적인 힘이나 능력도 영원히 지속될 수 없으며, 한계에 부딪히고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강조합니다.
해설:
이사야 40장 30절은 앞선 구절들(28-29절)에서 하나님의 영원하신 능력과 지혜를 찬양한 후, 그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인간의 연약함을 부각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힘 있고 활력이 넘치는 존재로 여겨지는 젊은이들조차 결국에는 피곤하고 지치며 넘어지고 쓰러진다는 현실을 지적합니다. 여기서 사용된 히브리어 동사 '야아프'(피곤하다)와 '야가'(곤비하다)는 단순히 육체적인 피로를 넘어, 노력해도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좌절감, 영적인 고갈 상태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내포합니다. '카숄 이카쉘루'(넘어지며 쓰러진다)는 부정사 절대형과 동사가 함께 쓰여 넘어짐의 확실성, 불가피함을 강조하며, 인간 노력의 최종적인 실패를 시사합니다. 이 구절은 어떤 인간적인 힘, 지혜, 자원도 궁극적인 피곤함과 실패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보여주며, 다음 구절에서 제시될 유일한 소망의 근원을 기대하게 만듭니다.
전문가 해설: 히브리어 원문에서 '감'(גם)은 '심지어'라는 의미로, 가장 강하다고 생각되는 대상에게조차 피곤함과 넘어짐이 찾아온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야아프'(יָעַף)와 '야가'(יָגַע)는 미완료형으로 쓰여 피곤함과 곤비함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찾아오는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특히 '카숄 יִכָּשֵׁלוּ'(kashol yikkashelu)는 '넘어짐이 넘어질 것이다'라는 의미로, 동근어(cognate) 부정사 절대형과 동사 미완료형의 조합은 문학적으로 실패의 확실성과 전적인 무능력을 극적으로 표현하는 장치입니다.
영어 번역의 "utterly fall" (KJV)이나 "stumble and fall" (NIV) 역시 이러한 의미를 잘 포착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인간의 자율적인 힘만으로는 인생의 고난과 역경 앞에서 결국 무너질 수밖에 없음을 명확히 하며,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해야 할 필연성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이는 바벨론 포로 상태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자신들의 힘으로는 회복될 수 없다는 냉철한 현실을 직시하게 하는 동시에, 하나님의 도우심만이 유일한 소망임을 깨닫게 하는 서론 역할을 합니다.
2. 이사야 40장 31절: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의 새 힘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에게 부어지는 초자연적인 능력
히브리어 원문: וְקוֹיֵ֣ יְהוָ֔ה יַחֲלִ֖יפוּ כֹּ֑חַ יַֽעֲל֣וּ אֵ֣בֶר כַּנְּשָׁרִ֑ים יָר֨וּצוּ֙ וְלֹ֣א יִגְע֔וּ יֵלְכ֖וּ וְלֹ֥א יִֽעָֽפוּ׃ פ
한국어 발음: 베코예이 아도나이 야할리푸 코아흐 야알루 에베르 칸네샤림 야루추 베로 이가우 예레쿠 베로 야아푸
단어 분석:
히브리어 | 한국어 번역 | 설명 |
---|---|---|
וְקוֹיֵ֣ (베코예이) | 오직 앙망하는 자는 | 접속사 '베' + Qal 능동분사 복수 연계형, '카바'(기다리다, 소망하다, 의지하다)에서 유래, 하나님을 향한 적극적인 신뢰와 기대 |
יְהוָ֔ה (아도나이) | 여호와를 | 하나님의 언약명, 여호와를 향한 앙망을 명확히 지시 |
יַחֲלִ֖יפוּ (야할리푸) | 바꾸리니, 새롭게 하리니 | Hiphil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 '할라프'(통과하다, 바꾸다, 갱신하다)에서 유래, 힘을 교환하거나 갱신하는 능동적인 의미, 하나님이 주체가 되심 |
כֹּ֑חַ (코아흐) | 힘을 | 명사 남성, 능력, 힘, 기력 |
יַֽעֲל֣וּ (야알루) | 올라갈 것이요 | Qal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 '알라'(올라가다, 상승하다)에서 유래, 높이 솟아오르는 역동적인 모습 |
אֵ֣בֶר (에베르) | 날개 | 명사 남성, 특히 독수리의 솟아오르는 데 사용되는 튼튼한 날개 |
כַּנְּשָׁרִ֑ים (칸네샤림) | 독수리들처럼 | 전치사 '카' (~처럼) + 정관사 '하' + 명사 남성 복수, '네셰르'(독수리), 강력하고 높이 나는 독수리 비유 |
יָר֨וּצוּ֙ (야루추) | 달음박질하여도 | Qal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 '루츠'(달리다),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 |
וְלֹ֣א (베로) | 그리고 ~않을 | 부정 |
יִגְע֔וּ (이가우) | 곤비하지 | Qal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 '야가'(수고하다, 지치다), 30절의 '곤비하며'와 대조 |
יֵלְכ֖וּ (예레쿠) | 걸어가도 | Qal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 '할라크'(걷다), 꾸준하고 지속적인 움직임 |
וְלֹ֥א (베로) | 그리고 ~않을 | 부정 |
יִֽעָֽפוּ׃ (야아푸) | 피곤하지 | Qal 미완료 3인칭 남성 복수, '야아프'(피곤하다, 지치다), 30절의 '피곤하며'와 대조 |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 독수리가 날개치며 올라감 같을 것이요 달음박질하여도 곤비하지 아니하겠고 걸어가도 피곤하지 아니하리로다"
영어 번역 (NIV): "but those who hope in the Lord will renew their strength. They will soar on wings like eagles; they will run and not grow weary, they will walk and not be faint."
영어 번역 (KJV): "But they that wait upon the Lord shall renew their strength; they shall mount up with wings as eagles; they shall run, and not be weary; and they shall walk, and not faint."
- wait upon the Lord / hope in the Lord :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
- Active reliance, trust, and patient expectation in God and His promises. Not passive waiting.
- soar on wings like eagles / mount up with wings as eagles : 독수리가 날개치며 올라감 같을 것이요
- Imagery of effortlessly rising abov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powered by an external force (wind, God's power).
이사야 40장 31절은 앞 절과는 완전히 다른 그림을 제시합니다. 인간적인 힘은 한계가 있지만,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וְקוֹיֵ֣ יְהוָ֔ה, 베코예이 아도나이) 하나님으로부터 "새 힘을 얻으리니" (יַחֲלִ֖יפוּ כֹּ֑חַ, 야할리푸 코아흐) 라고 선포합니다. 여기서 "앙망한다" (카바, קָוָה)는 단순히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그분을 적극적으로 신뢰하며 의지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그 결과는 놀랍습니다. "독수리가 날개치며 올라감 같을 것이요" (יַֽעֲל֣וּ אֵ֣בֶר כַּנְּשָׁרִ֑ים, 야알루 에베르 칸네샤림) 와 같이 초자연적인 능력을 받아 고난 위로 솟아오르며, 가장 빠르게 달릴 때조차 "곤비하지 않고" (וְלֹ֣א יִגְע֔וּ, 베로 이가우), 천천히 "걸어가도 피곤하지 않는" (וְלֹ֥א יִֽעָֽפוּ׃, 베로 야아푸) 놀라운 인내와 지속적인 힘을 얻게 됩니다.
해설:
이사야 40장 31절은 30절의 절망적인 인간의 모습과 대조를 이루며, 하나님을 의지하는 자에게 주어지는 소망의 메시지입니다. 핵심 동사는 '카바'(앙망하다)와 '할라프'(새롭게 하다)입니다. '카바'는 소극적인 기다림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하나님을 바라보고 그분께 묶여 있는 상태, 신뢰하고 의지하며 기대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앙망'의 태도를 가진 자들에게 하나님은 '할라프 코아흐', 즉 '힘을 새롭게 하시는' 역사를 행하십니다. 히브리어 '할라프'는 '바꾸다', '교환하다', '갱신하다'의 의미로, 인간의 낡고 소모된 힘을 하나님의 신선하고 강력한 힘으로 교환받는 것을 시사합니다. 독수리 비유는 단순한 힘의 비유를 넘어, 상승 기류를 타고 힘들이지 않고 높이 솟아오르는 독수리처럼, 하나님의 능력에 힘입어 세상의 풍파와 고난 위로 솟아오르는 영적인 차원의 힘을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달음박질'과 '걸어감'은 인생의 빠르고 격렬한 시기와 느리고 꾸준한 시기 모두에서 피곤함 없이 인내할 수 있는 하나님이 주시는 초자연적인 체력과 인내를 강조합니다. 이는 단순히 신체적인 힘의 회복을 넘어, 영적, 정신적, 육체적 전반에 걸친 하나님의 부어주시는 능력을 약속합니다.
전문가 해설: 30절과 31절은 완벽한 대구를 이룹니다. 30절의 '야아푸'(피곤하며), '이가우'(곤비하며), '카숄 이카쉘루'(넘어지며 쓰러지되)는 31절의 '베로 이가우'(곤비하지 아니하겠고), '베로 야아푸'(피곤하지 아니하리로다)와 '야알루 에베르 칸네샤림'(독수리가 날개치며 올라감)으로 상반됩니다. 히브리어 '카바'(קָוָה, qavah)는 본래 '끈을 꼬다' 또는 '함께 묶다'는 의미에서 발전하여 '기다리다', '소망하다', '의지하다'는 뜻을 갖게 됩니다. 이는 수동적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마치 밧줄이 꼬여 강해지듯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힘을 얻는 능동적인 의존과 기대를 나타냅니다. '야할리푸 코아흐'(יַחֲלִ֖יפוּ כֹּ֑חַ)에서 '야할리푸'는 Hiphil 동사로, '새롭게 하게 될 것이다' 또는 '교환하게 할 것이다'라는 사역적 의미를 내포합니다. 즉, 하나님께서 그들의 힘을 새롭게 *만들어 주시거나* (주체가 하나님), 혹은 그들이 연약한 힘을 하나님께 *내어주고* 그분의 힘과 *교환하게 될 것이다* (주체가 앙망하는 자이지만 하나님에 의해 가능케 됨)라는 두 가지 해석이 모두 가능하며, 어느 쪽이든 하나님이 힘의 근원이심을 강조합니다.
영어 NIV의 "will renew"와 KJV의 "shall renew"는 모두 이 갱신의 의미를 잘 담고 있습니다. 독수리 비유의 '에베르'(אֵבֶר)는 단순히 날개가 아니라 솟아오르는 힘의 근원인 '깃' 또는 '날개'를 의미하며, '야알루'(יַֽעֲל֣וּ)는 '올라가다'는 동사로 독수리가 상승 기류를 타고 힘들이지 않고 높이 솟구치는 모습을 연상케 합니다. 이는 인간적인 노력과는 차원이 다른, 하나님의 능력으로 가능케 되는 초월적인 승리와 인내를 상징합니다.
3. 결론 및 적용
이사야 40장 30-31절은 고난과 절망의 시대에 살았던 이스라엘 백성뿐만 아니라, 오늘날 삶의 무게에 지쳐 피곤하고 곤비하며 넘어지는 우리 모두에게 큰 위로와 소망을 줍니다. 30절은 인간의 한계와 연약함을 냉철하게 직시하게 하지만, 31절은 그러한 인간에게 유일한 구원의 길을 제시합니다. 그 길은 바로 "여호와를 앙망하는 것"입니다.
이사야 40장 30-31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인간적인 힘의 한계 인정: 우리의 젊음, 능력, 경험, 자원이 무한하지 않음을 인정해야 합니다. 스스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는 교만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 "앙망함"의 능동적인 실천: '앙망함'은 단순히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적극적으로 신뢰하고 그분께 소망을 두며 의지하는 것입니다. 기도를 통해 하나님과 교제하고, 말씀을 통해 그분의 뜻을 배우며, 예배를 통해 그분께 집중하는 삶을 통해 앙망함을 실천해야 합니다.
- 하나님이 주시는 새 힘 경험: 여호와를 앙망할 때, 우리의 낡은 힘이 하나님의 신선하고 강력한 힘으로 교체되는 '갱신'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성령의 능력으로 가능하며, 고난 속에서도 인내하고 역경을 이겨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 독수리처럼 솟아오르는 삶: 세상의 문제와 고난에 짓눌리는 것이 아니라, 독수리가 상승 기류를 타듯 하나님의 능력에 힘입어 그 위로 솟아오르는 영적인 자유와 승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지치지 않는 인내의 걸음: 인생의 빠른 속도(달음박질) 속에서도, 느린 속도(걸어감) 속에서도 피곤하거나 지치지 않는 꾸준함과 인내를 얻게 됩니다. 이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끝까지 경주할 수 있는 힘입니다.
우리의 힘으로 살아가려 할 때 우리는 필연적으로 지치고 넘어집니다. 그러나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며 그분을 신뢰할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상상할 수 없는 새 힘을 부어주시고, 어떤 상황 속에서도 독수리처럼 솟아오르며 지치지 않고 주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아가게 하실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여호와를 앙망한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나요? 수동적인 기다림이 아니라,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그분의 약속을 신뢰하며 적극적으로 그분께 의지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기도로 구하고, 말씀을 묵상하며, 그분의 인도하심을 기대하는 능동적인 신앙의 태도입니다.
- "새 힘을 얻으리니"는 어떤 종류의 힘인가요? 육체적 힘의 회복뿐만 아니라, 영적, 정신적, 감정적인 전반의 갱신을 포함합니다. 죄와 절망을 이기고, 고난 속에서 인내하며, 하나님의 뜻을 행할 수 있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성령의 능력으로 가능합니다.
- 독수리 비유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독수리가 자신의 힘이 아닌 상승 기류를 타고 높이 솟아오르듯, 우리가 자신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한 영역에 도달하고 어려움 위로 초월하여 하나님의 능력으로 승리하는 삶을 상징합니다.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고 영적인 시야를 넓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달음박질하거나 걸어가도 피곤하지 않는다는 것은 문자적인 의미인가요? 문자적으로 언제나 육체적인 피곤함을 느끼지 않는다는 의미보다는, 어떤 삶의 속도와 형태(빠른 활동, 느린 인내) 속에서도 하나님이 주시는 힘으로 꾸준히 persevere(인내하다)하며 사명을 완수할 수 있는 영적, 정신적 인내와 활력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결론적으로, 이사야 40장 30-31절은 인간의 연약함을 인정하고 오직 하나님만을 앙망할 때, 그분께서 주시는 초자연적인 새 힘으로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솟아오르며 지치지 않고 믿음의 경주를 완주할 수 있음을 강력하게 약속하는 말씀입니다.
이 약속을 붙잡고, 날마다 하나님을 앙망하는 삶을 통해 그분의 놀라운 능력을 경험하시기를 바랍니다.
'영어성경 > 구약-대예언서-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애가 에스겔 다니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혼의 갈증을 해소하는 하나님의 값없는 초청 (히브리어/영어 해설): 이사야 55장 1-2절 (2) | 2025.04.26 |
---|---|
이사야 6:8과 사무엘상 3:9 히브리어 영어 심층 해설: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두 가지 태도 (0) | 2025.04.26 |
이사야 43장 18-19절 히브리어 원문 영어 번역 및 해설: 새 일을 행하시는 하나님 (2) | 2025.04.12 |
예레미야애가 3장 22-23절: 히브리어 원문 심층 해설과 영어 현대적 적용 (소망, 긍휼, 신실하심) (0) | 2025.03.31 |
에스겔 36장 26-27절 해설: 새 마음과 새 영 - 히브리어/영어 분석 및 현대적 적용 (1) | 2025.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