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성경/신약-역사서와 바울서신-사도행전 로마서 고린도전후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1:7-8 성경 구절 해설 | 속량, 죄 사함, 은혜의 풍성함 (헬라어 원문 영어 분석 포함)

by 아!!^^라!! 2025. 4. 27.
반응형

에베소서 1장 7-8절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얻은 놀라운 구원의 은혜, 즉 속량(구속)과 죄 사함, 그리고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가 어떻게 우리에게 부어졌는지를 선포하는 말씀입니다.

본 글에서는 이 두 구절의 헬라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심층적인 해설과 현대적 적용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삶에 주시는 메시지를 탐구합니다. 전문가적인 헬라어 및 영어 해석을 곁들여 깊이를 더했습니다.

 

 

📋 목차

 

 

1. 에베소서 1장 7절: 속량과 죄 사함

그리스도의 피로 얻은 값 없는 구원

반응형

십자가의 보혈로 말미암아 아폴뤼트로시스(속량)

 

헬라어 원문: ἐν ᾧ ἔχομεν τὴν ἀπολύτρωσιν διὰ τοῦ αἵματος αὐτοῦ, τὴν ἄφεσιν τῶν παραπτωμάτων, κατὰ τὸν πλοῦτον τῆς χάριτος αὐτοῦ.

한국어 발음: 엔 호 에코멘 텐 아폴뤼트로신 디아 투 하이마토스 아우투, 텐 아페신 톤 파라프토마톤, 카타 톤 플루톤 테스 카리토스 아우투.

단어 분석:

헬라어 한국어 번역 설명
ἐν ᾧ (엔 호) 그 안에서 전치사 '엔'(~안에) + 관계대명사.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킴. 구원의 근거가 그리스도임을 강조.
ἔχομεν (에코멘) 우리가 가지고 있도다 1인칭 복수 현재 능동태 직설법, '에코'(가지다)에서 유래. 현재 소유하고 있는 구원의 확신 강조.
τὴν ἀπολύτρωσιν (텐 아폴뤼트로신) 속량(구속)을 목적격 여성 단수 명사 '아폴뤼트로시스'(속량, 해방, 구속) + 정관사. 죄와 사망으로부터 값을 치르고 해방됨.
διὰ τοῦ αἵματος αὐτοῦ (디아 투 하이마토스 아우투) 그의 피로 말미암아 전치사 '디아'(~을 통하여) + 속격 중성 단수 명사 '하이마'(피) + 3인칭 단수 소유격 대명사. 속량의 수단이 그리스도의 희생적 죽음임을 명시.
τὴν ἄφεσιν (텐 아페신) 사함(용서)을 목적격 여성 단수 명사 '아페시스'(사함, 용서, 면제) + 정관사. 죄의 형벌과 결과로부터 놓임.
τῶν παραπτωμάτων (톤 파라프토마톤) 그 범죄들(죄들)의 속격 중성 복수 명사 '파라프토마'(범죄, 잘못, 죄) + 정관사 복수. 용서의 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죄악들을 가리킴.
κατὰ τὸν πλοῦτον (카타 톤 플루톤) 그 풍성함을 따라 전치사 '카타'(~에 따라) + 목적격 남성 단수 명사 '플루토스'(부, 풍요, 풍성함) + 정관사. 구원의 크기가 하나님의 풍성함에 근거함을 나타냄.
τῆς χάριτος αὐτοῦ (테스 카리토스 아우투) 그 은혜의 속격 여성 단수 명사 '카리스'(은혜, 호의, 선물) + 정관사 + 3인칭 단수 소유격 대명사. 하나님의 값없는 선물인 은혜를 지칭.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속량 곧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영어 번역 (NIV): "In him we have redemption through his blood, the forgiveness of sins, in accordance with the riches of God's grace."

영어 번역 (KJV): "In whom we have redemption through his blood, the forgiveness of sins, according to the riches of his grace;"

 

  • redemption : 속량, 구속
    • From Greek ἀπολύτρωσις (apolytrōsis), meaning a release effected by payment of a ransom. Refers to being bought back from slavery to sin and death.
  • riches of grace : 은혜의 풍성함, 풍성한 은혜
    • Refers to the abundant, overflowing, and immeasurable nature of God's undeserved favor shown to believers.

 

에베소서 1장 7절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ἐν ᾧ, 엔 호) "그의 피로 말미암아" (διὰ τοῦ αἵματος αὐτοῦ, 디아 투 하이마토스 아우투) "속량 곧 죄 사함" (τὴν ἀπολύτρωσιν τὴν ἄφεσιν τῶν παραπτωμάτων, 텐 아폴뤼트로신 텐 아페신 톤 파라프토마톤) 을 얻었음을 선포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은혜의 풍성함" (τὸν πλοῦτον τῆς χάριτος αὐτοῦ, 톤 플루톤 테스 카리토스 아우투) 에 근거한 것임을 분명히 합니다.

 

해설:

에베소서 1장 7절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가 누리는 구원의 두 가지 핵심적인 측면, 즉 속량과 죄 사함을 설명합니다. '속량' (ἀπολύτρωσις, 아폴뤼트로시스)은 죄와 사망의 권세 아래 종노릇 하던 우리가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피, 즉 생명을 대가로 지불하심으로써 해방되어 자유롭게 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죄 사함' (ἄφεσις, 아페시스)은 우리의 모든 '범죄들' (παραπτωμάτων, 파라프토마톤 - 옆으로 비껴나가 넘어짐, 죄악)을 하나님께서 용서하시고 다시는 기억하지 않으시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모든 것은 우리의 공로나 자격 때문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은혜의 풍성함' (τὸν πλοῦτον τῆς χάριτος, 톤 플루톤 테스 카리토스) 즉, 넘치도록 부어주시는 값없는 선물과 호의 때문입니다. 이 구절은 구원이 오직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한 하나님의 은혜로만 가능하다는 복음의 핵심을 강력하게 증거합니다.

 

전문가 해설: 헬라어 'ἀπολύτρωσις'(아폴뤼트로시스)는 노예나 포로가 몸값을 지불하고 해방되는 개념을 포함합니다. 그리스도의 '피'(αἷμα, 하이마)는 그의 대속적인 죽음을 상징하며, 이 피가 우리의 죄에 대한 정당한 값을 지불함으로써 우리를 사탄의 권세와 죄의 종살이로부터 해방시켰음을 나타냅니다. 'ἄφεσις'(아페시스)는 빚을 면제해주거나 죄수를 풀어주는 행위를 의미하며, 죄 사함은 단순히 죄를 덮어두는 것이 아니라 죄의 책임과 형벌을 완전히 제거하는 하나님의 사법적인 선언입니다. 이 두 단어는 그리스도의 죽음이 가지는 해방과 용서의 능력을 함께 보여줍니다.

 

또한, 이 구원이 하나님의 'πλοῦτος τῆς χάριτος'(플루토스 테스 카리토스) 즉, '은혜의 풍성함'을 'κατά'(카타 - ~에 따라) 주어진 것임은, 구원의 규모가 인간의 상상을 초월하며 하나님의 무한하신 자비와 관대함에 뿌리내리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NIV의 "in accordance with the riches of God's grace"와 KJV의 "according to the riches of his grace"는 이 'κατά'와 'πλοῦτος'의 의미를 잘 살린 번역입니다.

 

2. 에베소서 1장 8절: 풍성한 은혜를 부어주심

 

하나님의 지혜와 총명으로 베푸시는 은혜

풍성한 카리토스(은혜)를 부어주심

 

헬라어 원문: ἧς ἐπερίσσευσεν εἰς ἡμᾶς ἐν πάσῃ σοφίᾳ καὶ φρονήσει,

한국어 발음: 헤스 에페리쓔센 에이스 헤마스 엔 파세 소피아 카이 프로네세이,

단어 분석:

헬라어 한국어 번역 설명
ἧς (헤스) 그 은혜가 속격 여성 단수 관계대명사. 7절의 '은혜'(χάριτος, 카리토스)를 받음. 은혜가 주체임을 나타냄.
ἐπερίσσευσεν (에페리쓔센) 넘치게 하사(부어주셨고) 3인칭 단수 과거 능동태 직설법, '페리쓔오'(넘치다, 풍성하다, 많다)에서 유래. 하나님의 은혜가 풍성하게 베풀어졌음을 강조.
εἰς ἡμᾶς (에이스 헤마스) 우리에게 전치사 '에이스'(~안으로, ~에게로) + 목적격 1인칭 복수 대명사. 은혜가 향하는 대상을 명확히 함.
ἐν πάσῃ σοφίᾳ (엔 파세 소피아) 모든 지혜 안에서 전치사 '엔'(~안에) + 여격 여성 단수 형용사 '파스'(모든) + 여격 여성 단수 명사 '소피아'(지혜). 은혜가 베풀어지는 방식/영역이 하나님의 온전한 지혜로 이루어짐을 나타냄.
καὶ φρονήσει (카이 프로네세이) 그리고 총명 안에서 접속사 '카이'(그리고) + 여격 여성 단수 명사 '프로네시스'(이해, 총명, 분별력). 지혜와 함께 하나님의 분별력 있고 사려 깊은 계획을 따라 은혜가 베풀어짐을 나타냄.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이는 그가 모든 지혜와 총명을 우리에게 넘치게 하사"

영어 번역 (NIV): "that he lavished on us with all wisdom and understanding."

영어 번역 (KJV): "Wherein he hath abounded toward us in all wisdom and prudence;"

  • lavished (래비쉬드): 넘치게 하다, 풍성하게 부어주다

From Greek περισσεύω (perisseuō), meaning to superabound, overflow, be lavish. Emphasizes the extreme generosity of God's giving

 

에베소서 1장 8절은 7절에서 언급된 '은혜' (ἧς, 헤스) 가 어떻게 우리에게 주어졌는지를 설명합니다. 하나님께서는 그 은혜를 "우리에게" (εἰς ἡμᾶς, 에이스 헤마스) "넘치게 하사" (ἐπερίσσευσεν, 에페리쓔센) 베푸셨으며, 이는 "모든 지혜와 총명 안에서" (ἐν πάσῃ σοφίᾳ καὶ φρονήσει, 엔 파세 소피아 카이 프로네세이) 이루어졌음을 강조합니다.

 

해설: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베푸신 은혜가 얼마나 풍성한지를 다시 한번 강조하며, 그 은혜가 무계획적이거나 충동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온전한 '지혜' (σοφία, 소피아) 와 '총명' (φρόνησις, 프로네시스) 속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밝힙니다. '넘치게 하사' (ἐπερίσσευσεν, 에페리쓔센)는 단순히 주시는 정도가 아니라 물이 넘쳐흐르듯이 부어주시는 하나님의 관대하심을 묘사합니다. '지혜'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 전체를 아우르는 깊고 포괄적인 이해를 의미하며, '총명'은 그 계획을 실제로 실현하는 데 필요한 세부적인 통찰력과 분별력을 가리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두 가지 속성을 총동원하여 우리에게 구원의 은혜를 베푸셨으며, 이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얼마나 완전하고 철저하며 목적이 분명한지를 보여줍니다. 이 구절은 우리가 받은 은혜의 크기와 깊이에 대해 경외감을 가지게 합니다.

 

전문가 해설: 헬라어 동사 'περισσεύω'(페리쓔오)는 '초과하다', '풍부하다', '넘쳐나다'는 뜻으로, 하나님께서 은혜를 베푸실 때 아낌없이, 심지어 기대 이상의 풍성함으로 주심을 나타냅니다. 구원의 은혜는 인색하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본성적인 관대함에서 흘러나오는 것입니다. 주목할 점은 이 풍성한 은혜가 'ἐν πάσῃ σοφίᾳ καὶ φρονήσει'(엔 파세 소피아 카이 프로네세이), 즉 '모든 지혜와 총명 안에서' 주어졌다는 것입니다. 'σοφία'(소피아)는 종종 신적인, 이론적인 지혜나 우주를 창조하고 다스리는 하나님의 계획과 관련된 깊은 지식을 의미하고, 'φρόνησις'(프로네시스)는 그러한 지혜를 실제적인 상황에 적용하는 통찰력이나 사려 깊음을 나타냅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구원 계획, 즉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에게 은혜를 베푸신 행위가 결코 즉흥적이거나 미숙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완전한 지혜와 계획, 그리고 그 실행에 필요한 모든 통찰력을 가지고 이루어진 것임을 강조합니다. 이는 구원 계획의 위대함과 그 안에 담긴 하나님의 깊은 목적을 보여줍니다. NIV의 "with all wisdom and understanding"이나 KJV의 "in all wisdom and prudence" 모두 하나님의 구원 사역이 가진 탁월한 지혜와 실행력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3. 결론 및 적용

 

에베소서 1장 7-8절은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얻은 구원의 본질과 그 은혜의 크기,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 구원을 베푸신 방식에 대해 깊이 묵상하게 하는 구절입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죄와 사망으로부터 '속량'되었고 우리의 모든 '죄'가 '사함'을 받았음을 확인합니다. 이는 오직 '그리스도의 피'를 통한 하나님의 '은혜의 풍성함'으로 가능했으며, 이 은혜는 하나님의 모든 '지혜와 총명' 가운데 우리에게 '넘치도록' 부어졌습니다.

이 두 구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구원의 확신: 우리의 구원은 그리스도의 희생과 하나님의 은혜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흔들리지 않는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죄 사함을 받았기에 더 이상 죄책감이나 정죄함에 묶이지 않습니다.
  • 하나님 은혜에 대한 감사: 우리는 자격이 없었지만,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과 은혜로 구원을 받았습니다. 이 놀라운 은혜에 대해 깊이 감사하며 살아야 합니다.
  • 하나님 지혜의 신뢰: 우리가 받은 구원과 은혜는 하나님의 완전한 지혜와 계획 안에서 이루어진 것입니다. 우리의 삶 가운데 일어나는 모든 일 또한 그 지혜 아래 있음을 신뢰하며 나아가야 합니다.
  • 풍성한 삶의 가능성: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은혜를 '넘치게' 부어주셨습니다. 이는 우리가 단순히 구원받는 데 그치지 않고, 하나님의 풍성함 가운데 자유롭고 충만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복음의 증거: 우리가 경험한 속량과 죄 사함, 그리고 풍성한 은혜를 다른 사람들에게도 알리며 이 복음을 증거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우리는 에베소서 1장 7-8절 말씀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받은 구원의 은혜를 깊이 누리고, 하나님의 지혜와 총명으로 베푸신 그 사랑에 응답하며, 우리의 삶 속에서 그 풍성함을 증거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이 말씀을 마음 깊이 새기고, 날마다 주님 안에서 참된 자유와 풍성한 은혜를 경험하며 살아가십시오.

구원받은 삶은 밝은 햇살이 비추는 들판이나 길을 자유롭고 기쁘게 걸어감 - 페리쓔오 넘쳐나네

 

 

 

자주 묻는 질문 (FAQ)

  • "속량"과 "죄 사함"은 같은 의미인가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강조점이 다릅니다. '속량'은 노예 상태에서의 해방(값을 지불하고 자유롭게 함)을, '죄 사함'은 죄에 대한 형벌과 책임을 용서받는 것을 강조합니다. 둘 다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가능하며 구원의 필수적인 측면입니다.
  • 우리의 공로 없이 은혜로만 구원받는다는 것이 방종을 허용하는 건 아닌가요? 아닙니다.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는 죄를 지어도 괜찮다는 면허가 아니라, 죄에서 벗어나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거룩하게 살 수 있는 능력과 동기를 부여합니다. 진정한 은혜를 경험한 사람은 죄를 미워하고 하나님께 순종하려는 마음을 가집니다.
  • 하나님의 "지혜와 총명"은 구원과 어떻게 연결되나요? 하나님의 구원 계획 자체가 최고의 지혜와 총명의 결과입니다. 인간 스스로는 해결할 수 없는 죄와 사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리스도를 보내신 것이 가장 지혜롭고 완전한 방법이며, 이 계획을 통해 우리를 구원하시고 영원한 복을 주시는 하나님의 통찰력과 사려 깊음을 보여줍니다.
  • "은혜의 풍성함"을 누리는 삶은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가요? 죄책감과 불안에서 벗어나 평안을 누리고,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만족하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의 지혜를 구하고 신뢰하며, 감사함으로 이웃을 섬기고 사랑하는 삶의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에베소서 1장 7-8절은 우리에게 베푸신 하나님의 놀라운 구원 은혜의 깊이와 넓이를 깨닫게 합니다. 그리스도의 피를 통한 속량과 죄 사함, 그리고 하나님의 지혜와 총명으로 베푸신 풍성한 은혜는 우리가 누릴 수 있는 가장 귀한 선물입니다.

이 진리 위에 굳게 서서, 날마다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감격하며 살아가는 삶을 누리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