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성경/신약-역사서와 바울서신-사도행전 로마서 고린도전후 갈라디아서

로마서 5장 8-9절 헬라어 및 영어 심층 해설: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과 구원의 약속

by 아!!^^라!! 2025. 4. 14.
반응형

로마서 5장 8-9절은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과 구원의 계획을 보여주는 핵심 구절입니다. 우리가 아직 죄인이었을 때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죽으심으로 우리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하셨고, 그의 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받은 우리는 더욱 그의 진노하심에서 구원을 받을 것이라는 소망을 제시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 두 구절의 헬라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심층적인 해설과 현대적 적용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삶에 주시는 메시지를 탐구합니다. 전문가적인 헬라어 및 영어 해석을 곁들여 깊이를 더했습니다.

 

 

📋 목차

 

 

1. 로마서 5장 8절: 죄인 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

놀라운 사랑의 확증: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 그리스도의 죽으심

반응형

died for us - 아가페

 

헬라어 원문: Συνίστησιν δὲ τὴν ἑαυτοῦ ἀγάπην εἰς ἡμᾶς ὁ Θεός, ὅτι ἔτι ἁμαρτωλῶν ὄντων ἡμῶν Χριστὸς ἀπέθανεν ὑπὲρ ἡμῶν.

한국어 발음: 시니스테이신 데 텐 헤아우투 아가펜 에이스 헤마스 호 데오스, 호티 에티 하마르톨론 온톤 헤몬 크리스토스 아페다넨 휘페르 헤몬.

단어 분석:

헬라어 한국어 번역 설명
Συνίστησιν (시니스테이신) 확증하시느니라 3인칭 단수 현재 능동태 직설법, '쉬니스테미' (추천하다, 나타내다, 확증하다)에서 유래, 하나님의 사랑을 분명히 드러내심
δὲ (데) 그러나, ~에 반하여 접속사, 앞 문맥과의 대조 또는 전환을 나타냄, 여기서는 5:6-7의 내용과 연결
τὴν ἑαυτοῦ (텐 헤아우투) 자신의 3인칭 재귀 대명사, 하나님의 소유격을 강조, 하나님의 '친히' 사랑하심
ἀγάπην (아가펜) 사랑을 여성 단수 목적격 명사, '아가페', 조건 없는, 희생적인 하나님의 사랑
εἰς ἡμᾶς (에이스 헤마스) 우리를 향하여 전치사 '에이스' (~으로, ~안으로, ~을 향하여) + 1인칭 복수 대명사, 사랑의 대상이 '우리'임을 명확히 함
ὁ Θεός (호 데오스) 하나님은 남성 단수 주격 명사, '데오스', 사랑의 주체가 '하나님'이심을 강조
ὅτι (호티) 왜냐하면 접속사, 이유나 원인을 설명, 하나님의 사랑의 확증 이유 제시
ἔτι (에티) 아직 부사, 시간적인 '아직', 죄인 됨의 상태가 '현재' 진행형임을 강조
ἁμαρτωλῶν (하마르톨론) 죄인 되었을 때에 남성 복수 속격 현재 분사, '하마르톨로스', 죄를 짓는 상태, 죄인의 신분
ὄντων (온톤) ~일 때에 남성 복수 속격 현재 분사, '에이미' (이다, 존재하다), '죄인'의 상태를 강조
ἡμῶν (헤몬) 우리 1인칭 복수 대명사 속격, 죄인의 주체가 '우리' 자신임을 강조
Χριστὸς (크리스토스) 그리스도께서 남성 단수 주격 명사, '크리스토스', 기름 부음 받은 자, 메시아, 구원의 주체
ἀπέθανεν (아페다넨) 죽으셨느니라 3인칭 단수 과거 능동태 직설법, '아포드네스코' (죽다), 과거에 완료된 그리스도의 희생적인 죽음
ὑπὲρ ἡμῶν (휘페르 헤몬) 우리를 위하여 전치사 '휘페르' (~대신에, ~을 위하여) + 1인칭 복수 대명사, 그리스도의 죽음이 '우리'를 위한 대속적 죽음임을 강조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

영어 번역 (NIV): "But God demonstrates his own love for us in this: 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영어 번역 (KJV): "But God commendeth his love toward us, in that, while we were yet sinners, Christ died for us."

 

  • while we were still sinners :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 우리가 하나님을 알기 전, 하나님과 원수 되었던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의 자격이나 공로가 아닌, 죄인 됨에도 불구하고 먼저 사랑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합니다.
  • Christ died for us (크라이스트 다이드 포 어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 그리스도의 죽음은 우리의 죄 값을 대신 짊어지신 대속적인 죽음입니다. '우리를 위하여' (ὑπὲρ ἡμῶν)는 '우리를 대신하여'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로마서 5장 8절은 하나님께서 "자기의 사랑" (τὴν ἑαυτοῦ ἀγάπην, 텐 헤아우투 아가펜) 을 "확증하셨다" (Συνίστησιν, 시니스테이신) 고 선언합니다. 이 사랑은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 (ἔτι ἁμαρτωλῶν ὄντων ἡμῶν, 에티 하마르톨론 온톤 헤몬), 즉 자격 없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주도적인 사랑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 (Χριστὸς ἀπέθανεν ὑπὲρ ἡμῶν, 크리스토스 아페다넨 휘페르 헤몬) 은 이 사랑의 가장 강력한 증거입니다.

 

해설:

로마서 5장 8절은 복음의 핵심 메시지인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강렬하게 드러냅니다. '확증하시느니라' (Συνίστησιν)는 현재 시제로, 십자가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이 영원히 변치 않고 현재에도 유효함을 강조합니다. '죄인 되었을 때' 라는 표현은 우리가 하나님께 반역하고 등을 돌렸을 때, 오히려 하나님께서 먼저 우리를 찾아오시고 사랑을 베푸셨다는 충격적인 은혜를 보여줍니다.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죽음은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의 깊이와 넓이를 십자가를 통해 분명하게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전문가 해설: 헬라어 원문에서 'Συνίστησιν' (시니스테이신)은 단순한 '보여준다'는 의미를 넘어, '입증하다', '증명하다', '추천하다' 와 같이 더 강력한 의미를 내포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사랑이 단지 피상적인 감정이 아니라, 십자가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객관적으로 증명된 진리임을 강조합니다. 'ἀγάπην' (아가펜)은 인간의 감정적인 사랑(필리아, 에로스)과는 구별되는, 이성적 의지적이며 희생적인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의미합니다. 'ὑπὲρ ἡμῶν' (휘페르 헤몬)은 법률적인 대리, 즉 우리의 죄 값을 대신하여 죽으셨다는 대속의 의미를 분명히 전달합니다. 영어 성경에서 "commendeth" (KJV) 나 "demonstrates" (NIV) 는 'Συνίστησιν'의 의미를 잘 살려 번역한 것입니다.

 

2. 로마서 5장 9절: 의롭다 하심과 구원의 확신

 

확실한 미래 소망: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의 진노로부터의 구원

로마서 5장8절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

 

헬라어 원문: πολλῷ οὖν μᾶλλον δικαιωθέντες νῦν ἐν τῷ αἵματι αὐτοῦ σωθησόμεθα δι’ αὐτοῦ ἀπὸ τῆς ὀργῆς.

한국어 발음: 폴로 운 말론 디카이오덴테스 뉜 엔 토 하이마티 아우투 소데소메다 디 아우투 아포 테스 오르게스.

단어 분석:

헬라어 한국어 번역 설명
πολλῷ οὖν μᾶλλον (폴로 운 말론) 그러면 더욱더 부사구, '훨씬 더', 앞 절의 사랑에 근거한 논리적 귀결, 강조 표현
δικαιωθέντες (디카이오덴테스)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남성 복수 주격 과거 수동태 분사, '디카이오오' (의롭다 하다), 과거에 완료된 의롭다 칭함을 받은 상태
νῦν (뉜) 이제 부사, 시간적인 '지금', 의롭다 하심을 받은 '현재'의 상태 강조
ἐν τῷ αἵματι αὐτοῦ (엔 토 하이마티 아우투) 그의 피로 말미암아 전치사 '엔' (~안에, ~으로) + 남성 단수 여격 명사 '하이마' (피) + 3인칭 단수 소유격, 의롭다 하심의 근거가 그리스도의 '피'임을 명시
σωθησόμεθα (소데소메다) 구원을 받으리라 1인칭 복수 미래 수동태 직설법, '소조' (구원하다), 미래에 확실히 구원받을 것에 대한 확신 표현
δι’ αὐτοῦ (디 아우투) 그로 말미암아 전치사 '디아' (~을 통하여) + 3인칭 단수 대명사, 구원의 '중보자'가 그리스도임을 강조
ἀπὸ τῆς ὀργῆς (아포 테스 오르게스) 진노로부터 전치사 '아포' (~로부터) + 여성 단수 속격 명사 '오르게' (진노), 구원의 내용이 하나님의 '진노'로부터의 구원임을 명시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그러면 이제 우리가 그의 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더욱 그의 진노하심으로부터 구원을 받을 것이니"

영어 번역 (NIV): "Since we have now been justified by his blood, how much more shall we be saved from God’s wrath through him!"

영어 번역 (KJV): "Much more then, being now justified by his blood, we shall be saved from wrath through him."

  • justified by his blood : 그의 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 그리스도의 피, 즉 십자가의 희생으로 말미암아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칭함을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의롭다 하심'은 법정적인 용어로, 죄인에서 의인으로 신분이 변화되었음을 선언하는 것입니다.
  • saved from God’s wrath : 그의 진노하심으로부터 구원을 받을 것이니
    • '진노'는 죄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의미합니다. 의롭다 하심을 받은 자는 미래에 닥칠 하나님의 진노로부터 구원을 받을 것이라는 확신을 제시합니다.

 

로마서 5장 9절은 8절의 사랑에 근거하여 "이제 그의 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δικαιωθέντες νῦν ἐν τῷ αἵματι αὐτοῦ, 디카이오덴테스 뉜 엔 토 하이마티 아우투) 라고 선언합니다. 이는 과거에 완료된 사건으로,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의롭게 칭함을 받은 현재의 상태를 강조합니다. 이러한 의롭다 하심을 받은 자들은 "더욱 그의 진노하심으로부터 구원을 받을 것" (σωθησόμεθα ἀπὸ τῆς ὀργῆς, 소데소메다 아포 테스 오르게스) 이라는 미래의 확실한 소망을 갖게 됩니다.

 

해설:

로마서 5장 9절은 8절에서 선포된 하나님의 사랑의 결과로서 '의롭다 하심'과 '구원'을 제시합니다. '의롭다 하심'은 단순히 죄가 용서받는 소극적인 차원을 넘어,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고 의로운 존재로 인정받는 적극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그의 피로 말미암아'는 의롭다 하심의 근거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의 공로임을 분명히 합니다. '진노로부터의 구원'은 미래에 있을 하나님의 심판으로부터의 완전한 구원을 약속하며, 의롭다 하심을 받은 자에게는 확실한 미래의 소망이 있음을 강조합니다.

 

전문가 해설: 헬라어 원문에서 'δικαιωθέντες' (디카이오덴테스)는 과거 수동태 분사로, 의롭다 하심이 인간의 행위가 아닌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 주어진 선물임을 나타냅니다. 'αἵματι' (하이마티 - 피)는 단순히 물리적인 피를 넘어,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 전체를 상징하며, 생명의 속죄적 희생을 의미합니다. 'σωθησόμεθα' (소데소메다)는 미래 수동태 직설법으로, 미래의 구원이 확실하며, 하나님에 의해 수동적으로 (즉, 하나님의 능력으로) 이루어질 것임을 강조합니다. 'ὀργῆς' (오르게스 - 진노)는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공의에 근거한 죄에 대한 정당한 심판을 의미하며, 구원은 이러한 하나님의 진노로부터의 해방을 포함합니다. 영어 성경에서 "justified" 와 "saved" 는 헬라어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번역입니다.

 

십자가의 은혜- 놀라운 사랑

3. 결론 및 적용

 

로마서 5장 8-9절은 죄로 인해 절망 가운데 있던 우리에게 하나님께서 베푸신 놀라운 사랑과 구원의 계획을 선명하게 보여줍니다. 8절에서는 죄인 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주도적인 사랑을 십자가 사건을 통해 확증하셨음을 강조하고, 9절에서는 그리스도의 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자들이 미래의 진노로부터 구원을 받을 것이라는 확실한 소망을 제시합니다. 이 두 구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로마서 5장 8-9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무조건적인 하나님의 사랑: 우리는 자격 없는 죄인일 때에도 하나님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이 사랑은 우리의 행위가 아닌,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택과 은혜에 근거합니다.
  • 십자가의 은혜: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은 우리 죄의 대가를 지불하고 우리를 의롭게 하신 하나님의 사랑의 결정적인 표현입니다. 우리는 십자가의 은혜를 깊이 묵상해야 합니다.
  • 구원의 확신과 소망: 그리스도의 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우리는 하나님의 진노로부터 구원받을 것이라는 확실한 소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소망은 현재의 어려움을 이겨낼 힘이 됩니다.
  • 감사와 사랑의 삶: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에 감사하며, 그 사랑에 반응하여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우리는 로마서 5장 8-9절 말씀을 통해, 날마다 십자가의 은혜를 기억하고,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에 감사하며, 구원의 확신과 소망 가운데 살아가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4. 로마서 5:8-9 현대적 적용 

 

로마서 5:8-9절의 메시지는 2천 년 전 로마 시대뿐 아니라, 21세기 현대 사회에도 깊은 의미를 지닙니다.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이 구절을 간결하게 적용해 보겠습니다.

1. 개인의 영적 위로와 회복

  • 죄책감과 불안 해소: 죄책감과 미래에 대한 불안 속에서, 십자가 사랑을 통해 죄 용서와 평안을 얻습니다.
  • 무가치함 극복: 스스로 무가치하게 느껴질 때, 조건 없이 사랑하시는 하나님 안에서 자존감을 회복합니다.
  • 절망에서 소망으로: 삶의 어려움 속에서 절망할 때, 구원의 확신을 통해 미래의 소망을 발견합니다.

2. 관계 회복과 사랑 실천

  • 관계 치유: 상처 입은 관계 속에서, 먼저 사랑하신 하나님의 사랑을 기억하며 용서와 화해를 실천합니다.
  • 사랑의 동기 부여: 이기적인 마음을 버리고, 받은 사랑에 감사하며 타인을 사랑하고 섬기는 삶을 살아갑니다.

3. 사회적 책임 감당

  • 정의와 공의 실천: 불의한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공의를 따라 정의를 실천하고 약자를 돌봅니다.
  • 복음 전파: 십자가 사랑의 감격을 전하며, 소망 없는 세상에 구원의 기쁜 소식을 전합니다.

전문가 해설: 현대 사회는 경쟁, 갈등, 불안이 심화되는 시대입니다. 로마서 5:8-9절은 이러한 시대에 진정한 위로와 소망의 메시지를 제공합니다. 십자가 사랑은 개인의 내면적 치유를 넘어, 관계 회복과 사회 변혁의 동력이 됩니다. 그리스도인은 이 사랑을 삶 속에서 실천하며 세상의 빛으로 살아가도록 부름 받았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의롭다 하심"은 어떻게 받나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받습니다. 우리의 행위가 아닌, 오직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 구원은 미래에만 이루어지는 건가요? 구원은 과거 (죄 사함), 현재 (성화), 미래 (영화)를 포함하는 과정입니다. 로마서 5:9절은 미래의 구원을 강조하지만, 의롭다 하심을 받은 현재의 상태 또한 중요합니다.
  • "진노"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죄와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입니다. 하지만 예수님을 믿는 자에게는 진노 대신 구원이 약속되었습니다.
  • 로마서 5:8-9절은 누구에게 주시는 말씀인가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사람에게 주시는 약속입니다. 십자가 사랑은 모든 믿는 자를 위한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결론적으로, 로마서 5장 8-9절은 개인과 세상을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과 구원의 복음을 담고 있습니다. 십자가 사랑을 깊이 묵상하고, 구원의 확신과 소망 가운데, 사랑과 감사가 넘치는 삶을 살아가십시오.

이 말씀을 마음 깊이 새기고, 날마다 십자가의 은혜를 기억하며, 변화된 삶을 살아가십시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