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성경/구약-모세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출애굽기 3장 13-14절 히브리어 해석 및 영어 해설

by 아!!^^라!! 2025. 3. 9.
반응형

출애굽기 3장 13-14절은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당신의 이름을 계시하시는 매우 중요한 구절입니다.

이 구절은 단순히 이름을 알려주는 것을 넘어,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을 드러내며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구원 계획을 확증합니다.
출애굽기 3장 13-14절은 모세가 하나님께 자신의 백성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의 이름을 어떻게 전해야 하는지 묻는 장면입니다. 이 구절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매우 중요한 신학적 의미를 지니며, 하나님의 본질과 존재를 드러내는 핵심적인 부분으로 여겨집니다. 

 


📋 목차

1. 13절: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모세의 질문
2. 14절: 하나님의 자기 계시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
3. 결론 및 FAQ ❓

1. 13절: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모세의 질문


히브리어 원문:

וַיֹּאמֶר מֹשֶׁה אֶל־הָאֱלֹהִים הִנֵּה אָנֹכִי בָא אֶל־בְּנֵי יִשְׂרָאֵל וְאָמַרְתִּי לָהֶם אֱלֹהֵי אֲבוֹתֵיכֶם שְׁלָחַנִי אֲלֵיכֶם וְשָׁאֲלוּנִי מָה שְּׁמוֹ מָה אֹמַר אֲלֵיהֶם



* וַיֹּאמֶר (Va-yomer): 그리고 말하였다 (And said)
* מֹשֶׁה (Mosheh): 모세 (Moses)
* אֶל־הָאֱלֹהִים (El-haElohim): 하나님께 (to God)
* הִנֵּה (Hineh): 보라 (Behold)
* אָנֹכִי (Anokhi): 나 (I)
* בָא (Ba): 오다 (am coming)
* אֶל־בְּנֵי יִשְׂרָאֵל (El-Bnei Yisrael): 이스라엘 자손에게 (to the children of Israel)
* וְאָמַרְתִּי (Ve-amarti): 그리고 내가 말하리라 (and I will say)
* לָהֶם (Lahem): 그들에게 (to them)
* אֱלֹהֵי אֲבוֹתֵיכֶם (Elohei Avoteichem): 너희 조상의 하나님 (the God of your fathers)
* שְׁלָחַנִי (Shlachani): 나를 보내셨다 (has sent me)
* אֲלֵיכֶם (Aleichem): 너희에게 (to you)
* וְשָׁאֲלוּנִי (Ve-sha’aluni): 그리고 그들이 나에게 물을 것이다 (and they will ask me)
* מָה שְּׁמוֹ (Mah Shmo): 그의 이름이 무엇이냐 (What is his name?)
* מָה אֹמַר (Mah Omar): 내가 무엇을 말하리요 (What shall I say?)
* אֲלֵיהֶם (Aleichem): 그들에게 (to them)


한국어 발음: Va-yomer Mosheh El-haElohim Hineh Anokhi Ba El-Bnei Yisrael Ve-amarti Lahem Elohei Avoteichem Shlachani Aleichem Ve-sha’aluni Mah Shmo Mah Omar Aleichem

해석: "모세가 하나님께 아뢰되 내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가서 이르기를 너희 조상의 하나님이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면 그들이 내게 묻기를 그의 이름이 무엇이냐 하리니 내가 무엇이라고 그들에게 말하리이까"

해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돌아가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해야 하지만, 백성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물을 때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고민합니다. 이는 단순히 이름 이상의 의미, 즉 하나님의 권위와 능력을 설명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English Explanation:

"Moses said to God, “Suppose I go to the Israelites and say to them, ‘The God of your fathers has sent me to you,’ and they ask me, ‘What is his name?’ Then what shall I tell them?”

Commentary: Moses anticipates the Israelites' need to understand who is sending him. The name represents the authority and power behind the messenger.

반응형

2. 14절: 하나님의 자기 계시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


히브리어 원문:
וַיֹּאמֶר אֱלֹהִים אֶל־מֹשֶׁה אֶהְיֶה אֲשֶׁר אֶהְיֶה וַיֹּאמֶר כֹּה תֹאמַר לִבְנֵי יִשְׂרָאֵל אֶהְיֶה שְׁלָחַנִי אֲלֵיכֶם



* וַיֹּאמֶר (Va-yomer): 그리고 말하였다 (And said)
* אֱלֹהִים (Elohim): 하나님 (God)
* אֶל־מֹשֶׁה (El-Mosheh): 모세에게 (to Moses)
* אֶהְיֶה אֲשֶׁר אֶהְיֶה (Ehyeh Asher Ehyeh):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 (I AM WHO I AM)
* וַיֹּאמֶר (Va-yomer): 그리고 말하였다 (And said)
* כֹּה (Koh): 이와 같이 (Thus)
* תֹאמַר (Tomar): 너는 말할 것이다 (You shall say)
* לִבְנֵי יִשְׂרָאֵל (Livnei Yisrael): 이스라엘 자손에게 (to the children of Israel)
* אֶהְיֶה (Ehyeh): 나는 ~이다 (I AM)
* שְׁלָחַנִי (Shlachani): 나를 보내셨다 (has sent me)
* אֲלֵיכֶם (Aleichem): 너희에게 (to you)

한국어 발음: Va-yomer Elohim El-Mosheh Ehyeh Asher Ehyeh Va-yomer Koh Tomar Livnei Yisrael Ehyeh Shlachani Aleichem

해석: "하나님이 모세에게 이르시되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 또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스스로 있는 자가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해설: "나는 스스로 있는 자" (Ehyeh Asher Ehyeh)는 하나님의 본질적인 속성을 드러냅니다. 이는 하나님이 스스로 존재하시며, 모든 존재의 근원이시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하나님은 과거, 현재, 미래에 걸쳐 영원히 존재하시며, 변치 않으시는 분이심을 나타냅니다.

English Explanation:

"God said to Moses, “I AM WHO I AM. This is what you are to say to the Israelites: ‘I AM has sent me to you.’”

Commentary: The phrase "I AM WHO I AM" (Ehyeh Asher Ehyeh) reveals God's self-existence and eternal nature. It emphasizes that God is not dependent on anything or anyone and is the source of all being.

*히브리어 해석과 문법 분석

  1. "אֶהְיֶה אֲשֶׁר אֶהְיֶה" (ʾehyeh ʾăšer ʾehyeh)
    • "אֶהְיֶה" (ʾehyeh): 히브리어 동사 "הָיָה" (hāyâ, "존재하다, 있다")의 1인칭 단수 미완료형(미래형)으로, "나는 있을 것이다" 또는 "나는 존재한다"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하나님의 영원성과 스스로 존재하심을 강조합니다.
    • "אֲשֶׁר" (ʾăšer): 관계대명사로 "그것인" 또는 "그와 같은"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는 "אֶהְיֶה"를 두 번 연결하며 하나님의 본질을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이 구문은 직역하면 "나는 내가 있을 그것이다" 정도로 해석되며, 철학적이고 신학적으로 깊은 함의를 지닙니다. 이는 하나님의 이름이 고정된 명사가 아니라 동적이고 살아 있는 존재임을 나타냅니다.
  2. 문법적 특징
    • 히브리어에서 동사 "הָיָה"는 단순히 "있다"라는 상태뿐 아니라 "되다", "일어나다" 등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어, 하나님의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존재를 암시합니다.
    • "אֶהְיֶה"가 두 번 반복되며 강조되는데, 이는 히브리어에서 반복을 통해 의미를 강화하는 전형적인 수사법입니다.
  3. 이어지는 "אֶהְיֶה שְׁלָחַנִי אֵלֵיכֶם"
    • 여기서 "אֶהְיֶה"가 하나님의 이름으로 사용되며,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할 구체적인 메시지로 제시됩니다. 이는 하나님의 존재가 백성의 구원과 직접 연결됨을 보여줍니다.

*신학적 해설

  1. 하나님의 이름과 본질
    • "אֶהְיֶה אֲשֶׁר אֶהְיֶה"는 전통적으로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다" (I AM WHO I AM)로 번역되며, 이는 하나님의 자기충족성과 영원성을 나타냅니다. 이 이름은 하나님께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존재임을 강조하며, 인간의 언어로 완전히 규정할 수 없는 초월성을 드러냅니다.
    • 고대 근동 문화에서는 이름이 그 존재의 본질과 권위를 상징했는데,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이와 같은 추상적이고 열린 이름을 주신 것은 단순한 신의 이름 이상으로, 스스로 존재하며 변함없는 신뢰의 근거가 되심을 보여줍니다.
  2. 이스라엘과의 관계
    •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과 맺는 언약적 관계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너희 조상들의 하나님"이라는 표현과 함께 "אֶהְיֶה"라는 이름이 소개되며, 과거(아브라함, 이삭, 야곱)와 현재(모세와 이스라엘)의 연속성을 강조합니다.
  3. 70인역(LXX)과 비교
    • 헬라어 70인역에서는 "אֶהְיֶה אֲשֶׁר אֶהְיֶה"를 "ἐγώ εἰμι ὁ ὤν" (egō eimi ho ōn, "나는 존재하는 자이다")로 번역했습니다. 이는 존재의 철학적 해석을 강화한 것으로, 후에 신약에서 예수께서 "ἐγώ εἰμι" (나는 있다)를 사용하실 때 이 구절과 연결되기도 합니다.

*우리말로 풀어쓴 해설

모세가 하나님께 "이스라엘 백성이 당신의 이름을 묻거든 뭐라고 대답해야 합니까?"라고 묻자, 하나님께서는 "אֶהְיֶה אֲשֶׁר אֶהְיֶה"라고 답하십니다. 이를 우리말로 자연스럽게 풀면 "나는 나인 존재이다" 또는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이름은 단순히 "내 이름이 이것이다"라고 말하는 것을 넘어, 하나님께서 영원히 존재하며, 스스로 계시며, 인간의 이해를 초월하는 분임을 나타냅니다. 이어서 하나님은 모세에게 "너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나인 존재(אֶהְיֶה)가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고 말하라"고 지시하십니다. 이는 모세와 백성에게 하나님의 구체적인 임재와 구원의 약속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이름이 단순한 호칭이 아니라, 그분의 본질과 백성과의 관계를 드러내는 선언임을 보여줍니다. 히브리어 "אֶהְיֶה"는 미래형 동사로 쓰였기에 "나는 앞으로도 계속 있을 것이다"라는 의미도 담고 있어, 이스라엘의 해방과 구원을 약속하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강조합니다.

결론 및 FAQ


출애굽기 3장 13-14절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를 통해 그분의 이름과 속성을 이해하게 해줍니다. "나는 스스로 있는 자"라는 이름은 하나님의 영원성, 자존성, 그리고 변치 않는 신실하심을 드러냅니다. 이 구절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의 모든 필요를 채우시고, 우리를 인도하시며, 우리와 영원히 함께하시는 분임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אֶהְיֶה אֲשֶׁר אֶהְיֶה"는 단순한 이름 이상으로, 하나님의 영원성, 자존성, 그리고 백성과의 언약적 관계를 드러내는 신학적 선언입니다.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달된 이 이름은 그들을 애굽에서 해방시키고 구원하실 하나님의 능력과 신뢰성을 상징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나는 스스로 있는 자"라는 이름은 무슨 의미인가요?
* 하나님의 자존성, 영원성, 그리고 변치 않는 신실하심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스스로 존재하시며, 모든 존재의 근원이십니다.

* 모세는 왜 하나님의 이름을 물었나요?
*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의 권위와 능력을 설명하기 위해 하나님의 이름을 알아야 했습니다.

* 출애굽기 3장 13-14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요?
* 하나님의 영원한 존재와 변치 않는 약속을 확신하며, 그분의 인도하심과 보호하심을 신뢰할 수 있게 합니다.

* Ehyeh Asher Ehyeh를 현대적인 언어로 번역하면 무엇이 될까요?
* "나는 영원히 존재하는 자이다," "나는 모든 필요를 충족시키는 자이다," 또는 "나는 모든 것의 근원이다" 등으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출애굽기 3장 13-14절은 단순히 과거의 사건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에게도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성품을 더 깊이 이해하고, 그분과의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삶 속에서도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신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하심이 늘 함께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