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성경/구약-모세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신명기 6장 4-5절 히브리어 영어 해석 및 해설: 마음과 뜻과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라

by 아!!^^라!! 2025. 3. 20.
반응형

신명기 6장 4-5절은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 고백의 핵심인 '쉐마 이스라엘'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은 유일하시며, 그분을 마음과 뜻과 힘을 다하여 사랑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 구절은 단순히 지적인 동의를 넘어 전인격적인 사랑을 요구하며, 신앙생활의 근본적인 방향을 제시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 두 구절의 히브리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각 구절을 깊이 해설하여 그 의미를 탐구하며, 현대적 적용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삶에 주는 교훈을 살펴보겠습니다.

 

 

📋 목차

 

 

1. 신명기 6장 4절: 쉐마 - 이스라엘아 들으라

하나님의 유일성과 '쉐마' 선언

반응형

 

히브리어 원문: שְׁמַ֖ע יִשְׂרָאֵ֑ל יְהוָ֥ה אֱלֹהֵ֖ינוּ יְהוָ֥ה אֶחָֽד׃

한국어 발음: 쉐마 이스라엘 아도나이 엘로헤이누 아도나이 에하드

단어 분석:

히브리어 한국어 번역 설명
שְׁמַ֖ע (쉐마) 들으라 '샤마'(듣다, 순종하다)의 명령형 단수 남성
יִשְׂרָאֵ֑ל (이스라엘) 이스라엘아 이스라엘 백성을 지칭하는 고유 명사
יְהוָ֥ה (여호와/아도나이) 여호와는 하나님의 이름 (테트라그라마톤, YHWH), '주'로 발음 (아도나이)
אֱלֹהֵ֖ינוּ (엘로헤이누) 우리들의 하나님 '엘로힘'(하나님)의 복수형 + 1인칭 복수 소유격 접미사
יְהוָ֥ה (여호와/아도나이) 여호와는 하나님의 이름 반복
אֶחָֽד (에하드) 유일하시다 (하나이시다) '에하드'(하나, 유일한, 독특한) - 기수 1

 

한국어 번역: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

영어 번역 (KJV): Hear, O Israel: The LORD our God is one LORD:

영어 번역 (NIV): Hear, O Israel: The LORD our God, the LORD is one.

 

"쉐마"(שְׁמַ֖ע)는 '듣다'라는 의미를 넘어 '경청하고 순종하다'라는 뜻을 포함합니다. '에하드'(אֶחָֽד)는 단순한 숫자 '하나'가 아닌, '유일하고 독특한 하나됨'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절대적인 유일성을 선언합니다.

 

해설:

신명기 6장 4절은 이스라엘 신앙의 핵심 고백인 '쉐마'의 첫 번째 구절입니다. "이스라엘아 들으라"는 외침은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엄숙한 선포이며,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삶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명령입니다.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라는 선언은 당시 다신교 문화 속에서 이스라엘 신앙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핵심 내용입니다. '에하드'(유일한)는 수많은 신들 중 하나가 아니라, 창조주이자 주권자로서의 유일하신 하나님을 강조합니다. 이는 이스라엘 백성이 오직 여호와 하나님만을 섬겨야 함을 분명히 하는 것입니다.

 

전문가 해설: 쉐마는 단순한 신앙 고백을 넘어, 유대교의 핵심 기도문이자 신앙 교육의 근본입니다. '에하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질적인 하나됨'을 이해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기도 합니다. 고대 근동 문맥에서 유일신 신앙은 혁명적인 선언이었으며, 이스라엘을 주변 국가들과 구별 짓는 핵심 요소였습니다. 이 구절은 역사적, 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해

2. 신명기 6장 5절: 마음과 뜻과 힘을 다하여

 

전인격적인 사랑의 명령

 

히브리어 원문: וְאָ֣הַבְתָּ֔ אֵ֖ת יְהוָ֥ה אֱלֹהֶ֑יךָ בְּכָל־לְבָבְךָ֥ וּבְכָל־נַפְשְׁךָ֖ וּבְכָל־מְאֹדֶֽךָ׃

한국어 발음: 베아하브타 에트 아도나이 엘로헤이카 베콜-레바브카 우베콜-나프쉐카 우베콜-메오데카

단어 분석:

히브리어 한국어 번역 설명
וְאָ֣הַבְתָּ֔ (베아하브타) 너는 사랑하라 '아하브'(사랑하다)의 완료형 2인칭 남성 단수 + 접속사 '베'
אֵ֖ת (에트) ~을 목적격 조사 (직접 목적어 표시)
יְהוָ֥ה (여호와/아도나이) 여호와를 하나님의 이름
אֱלֹהֶ֑יךָ (엘로헤이카) 네 하나님 '엘로힘'(하나님) + 2인칭 남성 단수 소유격 접미사
בְּכָל־לְבָבְךָ֥ (베콜-레바브카) 네 마음을 다하여 '콜'(모든) + '레브'(마음, 심장) + 2인칭 남성 단수 소유격 접미사 + 전치사 '베' (~으로)
וּבְכָל־נַפְשְׁךָ֖ (우베콜-나프쉐카) 네 뜻을 다하여 (네 생명을 다하여) '콜'(모든) + '네페쉬'(영혼, 생명, 뜻) + 2인칭 남성 단수 소유격 접미사 + 접속사 '바브' + 전치사 '베'
וּבְכָל־מְאֹדֶֽךָ (우베콜-메오데카) 네 힘을 다하여 '콜'(모든) + '메오드'(힘, 능력, 많음) + 2인칭 남성 단수 소유격 접미사 + 접속사 '바브' + 전치사 '베'

 

한국어 번역: "너는 네 마음을 다하고, 네 뜻을 다하고, 네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영어 번역 (KJV): And thou shalt love the LORD thy God with all thine heart, and with all thy soul, and with all thy might.

영어 번역 (NIV):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strength.

'레브'(לֵבָבְךָ, 마음), '네페쉬'(נַפְשְׁךָ, 뜻/생명), '메오드'(מְאֹדֶֽךָ, 힘)는 인간의 전인격을 나타내는 단어들입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명령은 감정, 의지, 능력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께 헌신하라는 의미입니다.

 

해설:

5절은 4절의 유일신 선언에 이어, 그 유일하신 하나님을 어떻게 섬겨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네 마음을 다하고, 네 뜻을 다하고, 네 힘을 다하여"라는 표현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단순한 감정이나 의례적인 행위를 넘어, 전인격적인 헌신을 요구함을 보여줍니다. '마음'(레브)은 감정과 의지를, '뜻/생명'(네페쉬)은 인격과 존재 전체를, '힘'(메오드)은 모든 능력과 자원을 의미합니다. 이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그분께 온전히 헌신하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전문가 해설: 이 구절은 사랑의 대상을 '하나님'으로 명확히 제시하며, 사랑의 범위를 '전인격'으로 확장합니다. 랍비 문헌에서는 '네페쉬'를 '목숨을 다하여'로 해석하여, 순교를 포함한 극단적인 헌신까지 요구하는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신약 성경에서 예수님은 이 구절을 '가장 큰 계명'으로 인용하며(마 22:37-38), 쉐마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셨습니다. 이는 기독교 신앙에서도 하나님 사랑의 근본적인 중요성을 강조하는 구절입니다.

 

3. 결론 및 적용

 

신명기 6장 4-5절은 이스라엘 신앙의 핵심인 쉐마를 통해 하나님의 유일성과 전인격적인 사랑의 명령을 선포합니다. 이 두 구절은 하나님의 백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지침을 제시하며, 신앙의 본질을 명확하게 드러냅니다.

이 구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유일하신 하나님 경배: 다양한 가치관과 문화 속에서 오직 여호와 하나님만이 우리의 경배와 순종의 대상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 전인격적인 사랑 실천: 감정, 의지, 능력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을 사랑하며, 삶의 모든 순간에서 그 사랑을 드러내야 합니다.
  • 삶의 우선순위 재정립: 하나님을 가장 사랑하는 것이 삶의 최우선 순위가 되어야 하며, 모든 결정과 행동의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 신앙 교육의 중요성: 쉐마는 신앙 교육의 핵심 내용입니다. 가정과 교회에서 다음 세대에게 쉐마의 의미를 가르치고, 삶으로 실천하도록 격려해야 합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유일하신 하나님을 온전히 경배하고, 전인격적인 사랑으로 그분께 헌신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부름 받았습니다.

쉐마 이스라엘!

4. 신명기 6:4-5 현대적 적용

 

신명기 6장 4-5절의 쉐마는 수천 년의 시간을 넘어 현대인들에게도 여전히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구절을 오늘날 삶에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개인의 신앙생활에서

  • 삶의 중심 되찾기: 현대 사회는 다양한 가치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갑니다. 쉐마는 우리 삶의 중심을 오직 하나님께 두도록 도전하며, 세상의 유혹에서 벗어나 하나님께 집중하도록 이끌어줍니다.
  • 전인격적 예배: 예배는 단순히 주일 예배 참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뜻과 힘을 다해 하나님을 경배하는 전인격적인 행위여야 합니다. 쉐마는 예배의 본질을 일깨워줍니다.
  • 일상에서의 헌신: 하나님 사랑은 교회 안에서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직장, 가정, 사회생활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 되심을 인정하고, 그 뜻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쉐마의 정신입니다.

2. 공동체와 교회에서

  • 교회 공동체의 정체성 확립: 쉐마는 교회 공동체의 정체성을 '유일하신 하나님을 경배하는 공동체'로 확립하도록 돕습니다. 교회의 모든 사역과 활동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 신앙 교육의 방향 제시: 쉐마는 교회 교육, 특히 다음 세대 교육의 핵심 내용을 제시합니다. 성경 교육, 예배, 공동체 훈련을 통해 쉐마 정신을 심어주어야 합니다.
  • 사회적 책임 감당: 하나님 사랑은 이웃 사랑으로 이어집니다. 쉐마 정신은 사회적 약자를 돌보고, 정의를 실천하며, 세상을 변화시키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3. 미래 세대를 위한 유산

  • 가정에서의 쉐마 교육: 쉐마는 가정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부모는 자녀에게 쉐마의 의미를 가르치고, 삶으로 보여주며, 신앙을 계승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 문화적 영향력 행사: 쉐마 정신은 개인과 공동체를 넘어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쳐야 합니다. 기독교 문화는 쉐마를 바탕으로 세상에 하나님의 사랑과 진리를 드러내야 합니다.
  • 지속 가능한 신앙 전수: 쉐마는 다음 세대에게 지속 가능한 신앙을 전수하는 핵심 가치입니다. 끊임없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쉐마 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켜나가야 합니다.

전문가 해설: 현대 사회는 다원주의, 상대주의 가치관이 만연하며, 신앙의 본질이 흐려지기 쉽습니다. 쉐마는 이러한 시대적 চ্যালেঞ্জ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제시합니다. '유일하신 하나님'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전인격적인 사랑'의 실천은 개인과 공동체의 영적 건강을 유지하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됩니다. 쉐마는 단순한 구절이 아닌,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과 같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마음, 뜻, 힘'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나요? '마음'은 감정과 의지, '뜻'은 영혼과 인격 전체, '힘'은 모든 능력과 자원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전인격적인 사랑은 우리의 모든 존재와 삶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 쉐마는 유대교만의 가르침인가요? 쉐마는 구약 성경의 핵심 가르침이며, 예수님께서도 쉐마를 가장 큰 계명으로 인용하셨습니다. 기독교 신앙에서도 쉐마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근본 원리를 제시하는 중요한 구절입니다.
  • 현대 사회에서 쉐마를 실천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우선순위에 두고, 말씀과 기도, 예배를 통해 하나님을 알아가고 사랑하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또한, 이웃 사랑을 실천하며,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는 것이 쉐마를 삶으로 살아내는 것입니다.
  • 쉐마 교육은 다음 세대에게 왜 중요한가요? 쉐마는 신앙의 핵심 가치를 담고 있으며, 다음 세대가 흔들리지 않는 신앙을 갖도록 돕는 기초가 됩니다. 가정과 교회에서 쉐마를 가르치고 실천하는 것은 미래 세대를 위한 가장 중요한 유산입니다.

결론적으로, 신명기 6:4-5절의 쉐마는 시대를 초월하여 유일하신 하나님을 전심으로 사랑하고 섬기라는 영원한 진리를 선포합니다. 이 말씀은 우리의 개인적인 신앙생활, 공동체, 그리고 미래 세대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서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빛과 같습니다.

쉐마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 중심의 삶을 살아가며, 그 사랑 안에서 참된 행복과 의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