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1장 8-9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불뱀에 물려 죽어갈 때, 하나님께서 제시하신 독특한 구원의 방법을 보여줍니다. 놋뱀을 바라보는 믿음을 통해 생명을 얻는 이 사건은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소망을 잃지 않게 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예표하는 중요한 구절로 인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민수기 21장 8-9절의 히브리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심층적인 해설과 현대적 적용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삶에 주시는 메시지를 탐구합니다. 전문가적인 히브리어 및 영어 해석을 곁들여 깊이를 더했습니다.
📋 목차
1. 민수기 21장 8절: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라
절망 속에서 주어진 구원의 방식: 바라보면 살리라
히브리어 원문: וַיֹּאמֶר יְהוָה אֶל־מֹשֶׁה עֲשֵׂה לְךָ שָׂרָף וְשִׂים אֹתוֹ עַל־נֵס וְהָיָה כָּל־הַנָּשׁוּךְ וְרָאָה אֹתוֹ וָחָי
한국어 발음: 바요메르 아도나이 엘-모쉐 아세 레카 사라프 베심 오토 알-네스 베하야 콜-한나슈크 베라아 오토 바하이
단어 분석:
히브리어 | 한국어 번역 | 설명 |
---|---|---|
וַיֹּאמֶר (바요메르) | 그리고 말씀하셨다 | 접속사 '바' + 미완료형, '아마르' (말하다)에서 유래. 순차적인 사건 연결 |
יְהוָה (아도나이) | 여호와께서 |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 (테트라그람마톤 YHWH) |
אֶל־מֹשֶׁה (엘-모쉐) | 모세에게 | 전치사 '엘' (~에게) + 명사 '모쉐' (모세), 대화의 수신자 |
עֲשֵׂה (아세) | 만들어라 | 남성 단수 명령형, '아사' (만들다, 행하다)에서 유래. 하나님의 명령 |
לְךָ (레카) | 너를 위하여 | 전치사 '레' (~에게, ~을 위하여) + 2인칭 남성 단수 접미사. 모세에게 주어진 임무 강조 |
שָׂרָף (사라프) | 불뱀을 | 명사, '사라프' (태우다, 불타다)에서 유래. 불타는 듯한 고통이나 독을 가진 뱀 |
וְשִׂים (베심) | 그리고 두어라/매달아라 | 접속사 '베' + 남성 단수 명령형, '심' (두다, 놓다)에서 유래. 연속적인 명령 |
אֹתוֹ (오토) | 그것을 | 3인칭 남성 단수 목적격 대명사, 불뱀을 지칭 |
עַל־נֵס (알-네스) | 장대 위에 | 전치사 '알' (~위에) + 명사 '네스' (장대, 깃발, 신호). 높이 달아 보이게 하는 도구 |
וְהָיָה (베하야) | 그리고 ~될 것이다 | 접속사 '베' + 완료형, '하야' (되다, 있다)에서 유래. 조건에 따른 결과 제시 |
כָּל־הַנָּשׁוּךְ (콜-한나슈크) | 물린 모든 자 | '콜' (모든) + 정관사 '하' + 수동 분사 '나슈크' ('나솨크' - 물다), 조건의 대상 |
וְרָאָה (베라아) | 그리고 보면 | 접속사 '베' + 완료형, '라아' (보다, 알다)에서 유래. 치유를 위한 행위 (바라보는 것) |
אֹתוֹ (오토) | 그것을 | 다시 등장, 놋뱀을 지칭. 바라봄의 대상 |
וָחָי (바하이) | 그러면 살리라 | 접속사 '바' + 미완료형, '하야' (살다)에서 유래. 바라봄의 결과 (생명) |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매달아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
영어 번역 (NIV): "The LORD said to Moses, 'Make a snake and put it up on a pole; anyone who is bitten can look at it and live.'"
영어 번역 (KJV): "And the LORD said unto Moses, Make thee a fiery serpent, and set it upon a pole: and it shall come to pass, that every one that is bitten, when he looketh upon it, shall live."
- fiery serpent / snake (파이어리 서펀트 / 스네이크): 불뱀, 독사
- Refers to the venomous snakes sent by God, whose bites caused burning pain and death. Symbolizes sin's deadly consequences.
- put it up on a pole / set it upon a pole (풋 잇 업 온 어 폴 / 셋 잇 어폰 어 폴): 장대 위에 매달다, 높이 들다
- Indicates lifting the serpent up so it can be seen by all. The pole (נֵס, nes) can also mean standard or sign.
- look at it and live / when he looketh upon it, shall live (룩 엣 잇 앤 리브 / 웬 히 루케쓰 어폰 잇, 쉘 리브): 그것을 보면 살리라
- Highlights the simple yet crucial action required for salvation (looking/seeing) and the promised outcome (living/survival).
민수기 21장 8절은 이스라엘 백성의 불순종으로 인한 심판(불뱀의 공격) 속에서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주신 구원의 명령입니다. 하나님은 불뱀의 환영(image)을 만들어 장대(נֵס, 네스) 위에 매달고, 물린 자가 그것을 "보면" (רָאָה, 라아) 살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이는 죄와 사망의 권세 아래 놓인 인간에게 하나님이 주시는 역설적이고 은혜로운 구원의 방법을 보여줍니다.
해설:
이스라엘 백성은 광야 길에 불평하다가 불뱀에 물려 죽는 재앙을 맞았습니다. 그들이 회개하고 모세에게 간구했을 때, 하나님께서는 놀라운 해결책을 제시하셨습니다. 그것은 바로 심판의 도구였던 '뱀'의 형상을 '놋'으로 만들어 '장대' 위에 높이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그것을 '보는' 행위만으로도 생명을 얻게 하셨습니다. 여기서 '불뱀'(שָׂרָף, 사라프)은 그들이 직면한 치명적인 문제, 즉 죄와 그 결과인 사망을 상징합니다. 하나님은 이 문제의 '상징'을 사용하여 구원의 길을 여신 것입니다. 장대(נֵס, 네스)는 높이 들려 모든 사람이 볼 수 있게 하는 표식이며, 이는 이후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높이 달리신 사건을 예표합니다. '보다'(רָאָה, 라아)는 단순한 시각적 행위를 넘어, 믿음으로 '바라보는' 행위를 포함합니다. 이 구절은 인간의 행위나 공로가 아닌, 오직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순종과 그 표식을 바라보는 믿음으로 구원이 임함을 강조합니다.
전문가 해설: 히브리어 원문에서 '불뱀'(שָׂרָף, 사라프)은 '불태우다' 또는 '타는 듯한 고통을 주다'라는 동사 어근에서 파생된 명사로, 뱀의 독이 주는 고통과 치명성을 잘 나타냅니다. '장대'(נֵס, 네스)는 군대의 깃발이나 멀리서도 식별 가능한 표식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구원의 상징이 높이 들려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보다'(רָאָה, 라아)라는 동사는 단순히 눈으로 보는 것뿐만 아니라, 이해하고 인식하며 주목하는 의미까지 포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놋뱀을 보는 행위는 단순한 관람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그 표식에 의존하는 '믿음으로 바라봄'을 의미한다고 해석됩니다. 이 구절은 구약의 제사 제도가 아닌, 전적으로 하나님이 정하신 새로운 방법을 통해 죄의 결과로부터 벗어나는 사건을 보여주며, 신약의 요한복음 3장 14-15절에서 예수님께서 자신이 놋뱀처럼 들려질 것이라고 말씀하시며 이 사건을 자신의 구원 사역에 대한 예표로 직접 해석하셨음을 주목해야 합니다. 이는 구약의 사건이 신약에서 어떻게 완성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연결고리입니다. 영어 번역에서 "look at it"은 히브리어 '라아'의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으며, 행위와 결과("and live")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2. 민수기 21장 9절: 순종과 생명의 역사
믿음으로 바라보는 자에게 임하는 구체적인 결과
히브리어원문: וַיַּעַשׂ מֹשֶׁה נְחַשׁ נְחֹשֶׁת וַיְשִׂמֵהוּ עַל־הַנֵּס וְהָיָה אִם־נָשַׁךְ הַנָּחָשׁ אֶת־אִישׁ וְהִבִּיט אֶל־נְחַשׁ הַנְּחֹשֶׁת וָחָי
한국어 발음: 바야아스 모쉐 네하쉬 네호쉐트 바예시메후 알-한네스 베하야 임-나솨크 한나하쉬 에트-이쉬 베힙비트 엘-네하쉬 한네호쉐트 바하이
단어 분석:
히브리어 | 한국어 번역 | 설명 |
---|---|---|
וַיַּעַשׂ (바야아스) | 그리고 만들었다/행했다 | 접속사 '바' + 미완료형 (와우 연속법), '아사' (만들다, 행하다). 모세의 즉각적인 순종 |
מֹשֶׁה (모쉐) | 모세가 | 행위의 주체 |
נְחַשׁ נְחֹשֶׁת (네하쉬 네호쉐트) | 놋뱀을 | '나하쉬' (뱀) + '네호쉐트' (놋, 구리). 뱀 형상의 놋 조형물 |
וַיְשִׂמֵהוּ (바예시메후) | 그리고 그것을 두었다/매달았다 | 접속사 '바' + 미완료형 (와우 연속법) + 3인칭 단수 남성 접미사. 놋뱀을 장대에 두는 행위 |
עַל־הַנֵּס (알-한네스) | 그 장대 위에 | 전치사 '알' (~위에) + 정관사 '하' + 명사 '네스' (장대). 앞서 언급된 그 장대 |
וְהָיָה (베하야) | 그리고 ~되었다 | 반복. 뒤따르는 결과 제시 |
אִם־נָשַׁךְ (임-나솨크) | 만일 물렸다면 | 접속사 '임' (만일) + 완료형, '나솨크' (물다). 발생한 사건의 조건 |
הַנָּחָשׁ (한나하쉬) | 그 뱀이 | 정관사 '하' + 명사 '나하쉬'. 불뱀들을 지칭 |
אֶת־אִישׁ (에트-이쉬) | 어떤 사람을 | 목적격 지시어 '에트' + 명사 '이쉬' (사람, 남자). 물린 대상 |
וְהִבִּיט (베힙비트) | 그리고 바라보면 | 접속사 '베' + 완료형 (와우 연속법), '나바트' (바라보다, 주목하다) 히필형. 의도적이고 집중적인 바라봄 |
אֶל־נְחַשׁ הַנְּחֹשֶׁת (엘-네하쉬 한네호쉐트) | 그 놋뱀을 향하여 | 전치사 '엘' (~향하여, ~에게) + 명사 '나하쉬' + 정관사 '하' + 명사 '네호쉐트'. 바라봄의 대상 (구체적인 놋뱀) |
וָחָי (바하이) | 그러면 살더라 | 반복. 바라봄의 결과 (생명 얻음). 역사적인 사실로서 기록 |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모세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다니 뱀에게 물린 자가 놋뱀을 쳐다본즉 모두 살더라"
영어 번역 (NIV): "So Moses made a bronze snake and put it up on a pole. Then when anyone was bitten by a snake and looked at the bronze snake, they lived."
영어 번역 (KJV): "And Moses made a serpent of brass, and put it upon a pole, and it came to pass, that if a serpent had bitten any man, when he beheld the serpent of brass, he lived."
- bronze snake / serpent of brass (브론즈 스네이크 / 서펀트 오브 브래스): 놋뱀, 구리뱀
- Refers to the physical object Moses created according to God's command. Made of bronze/copper.
- looked at / beheld (룩드 엣 / 비헬드): 쳐다본즉, 바라보다
- Describes the action of the bitten person. The Hebrew verb 'hibbit' (הִבִּיט) suggests a more focused, intentional gaze than 'ra'ah'.
- they lived / he lived (데이 리브드 / 히 리브드): 모두 살더라, 살았다
- The direct and guaranteed result of looking with faith. Physical salvation from the deadly snake bite.
민수기 21장 9절은 하나님께서 8절에서 명령하신 바를 모세가 즉시 순종하여 실행했음을 기록합니다. 모세는 "놋뱀" (נְחַשׁ נְחֹשֶׁת, 네하쉬 네호쉐트)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았습니다. 그리고 "뱀에게 물린 자가" (אִם־נָשַׁךְ הַנָּחָשׁ אֶת־אִישׁ, 임-나솨크 한나하쉬 에트-이쉬) 그 놋뱀을 "쳐다본즉" (וְהִבִּיט, 베힙비트) "모두 살더라" (וָחָי, 바하이)고 증언합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인간의 순종(모세의 행위)과 믿음(이스라엘 백성의 바라봄)이 결합될 때 하나님의 구원 역사가 실제로 일어남을 보여줍니다.
해설: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에 즉각적으로 순종하여 놋으로 뱀 형상을 만들고 그것을 장대 위에 높이 달았습니다. 이 기이한 구원의 방법 앞에서 의심하거나 거부하는 사람들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절박함 가운데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장대 위에 달린 놋뱀을 '바라본'(הִבִּיט, 힙비트) 사람들은 모두 살아났습니다. 8절의 '보다'(רָאָה, 라아)와 9절의 '쳐다본즉'(הִבִּיט, 힙비트)은 약간의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라아'는 단순히 '보다'이지만, '힙비트'(히필형)는 '집중하여 보다', '바라보다', '주목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구원이 수동적인 관찰이 아니라, 의도적이고 믿음으로 행하는 '바라봄'을 통해 이루어짐을 시사합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모세)과 그 말씀에 대한 믿음으로 행하는 자에게 주어지는 확실한 생명의 약속 성취를 보여주는 역사적 기록입니다.
전문가 해설: 9절에서 사용된 히브리어 동사 '바야아스'(וַיַּעַשׂ)는 모세의 즉각적인 순종적 행위를 나타냅니다. 또한 '놋뱀'(נְחַשׁ נְחֹשֶׁת, 네하쉬 네호쉐트)이라는 표현은 히브리어에서 뱀(נָחָשׁ, 나하쉬)과 놋(נְחֹשֶׁת, 네호쉐트) 사이의 발음적 유사성(wordplay)을 통해, 심판의 도구(뱀)와 구원의 도구(놋뱀) 사이에 존재하는 기묘한 연결성을 강조합니다. 가장 중요한 동사 중 하나는 '쳐다본즉'으로 번역된 '베힙비트'(וְהִבִּיט)입니다. 이는 앞선 '라아'(보다)보다 훨씬 강하고 집중적인 시선을 나타내는 '나바트'(바라보다, 주목하다) 동사의 히필형(사역형)입니다. 이는 단순히 놋뱀을 눈앞에 두는 것을 넘어, 의지적으로 시선을 고정하고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는 행위, 즉 '믿음으로 바라봄'을 의미합니다. "모두 살더라"(וָחָי, 바하이)는 구원의 보편성(조건을 충족한 모든 자)과 확실성을 강조하는 역사적 진술입니다.
영어 번역에서 "looked at"이나 "beheld"는 '힙비트'의 의미를 어느 정도 전달하지만, 히브리어 원문의 강한 의도성과 집중성을 완전히 담아내지는 못할 수 있습니다. 이 구절은 요한복음 3장 14-15절에서 예수님이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 같이 인자도 들려야 하리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고 말씀하심으로써 명확히 신약적 의미가 부여되었습니다. 놋뱀 사건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달려 인류의 죄를 담당하시고, 그를 믿음으로 바라보는 모든 자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시는 복음의 핵심을 생생하게 예표합니다.
3. 결론 및 적용
민수기 21장 8-9절의 놋뱀 사건은 죄로 인해 죽음의 위협에 놓인 인간에게 하나님께서 주시는 구원의 원리를 강력하게 보여줍니다. 이 사건은 단순히 고대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 이야기에 그치지 않고, 신약 시대의 구원, 나아가 오늘날 우리의 구원에 대한 중요한 예표이자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불뱀은 죄의 치명적인 결과, 즉 사망을 상징하며, 놋뱀은 죄의 형상(뱀)을 취하셨으나 죄가 없으신(놋쇠는 심판을 견디는 상징으로도 사용됨)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합니다. 장대는 예수님께서 높이 들리신 십자가를 상징합니다.
에스겔 36장 26-27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죄의 심각성 인식: 불뱀에 물려 죽어가는 이스라엘 백성처럼, 죄는 우리 영혼을 병들게 하고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죄의 치명성을 깨닫고 겸손히 하나님의 은혜를 구해야 합니다.
-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는 구원: 놋뱀을 바라보는 것 외에 다른 어떤 행위도 필요 없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구원은 우리의 노력이나 공로가 아닌, 오직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바라보는' 행위를 통해 주어집니다.
- 십자가의 능력: 놋뱀이 단순한 형상이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이 나타나는 통로였듯이, 십자가는 저주와 심판의 상징처럼 보이지만, 하나님의 구원 능력이 나타나는 통로입니다. 우리는 십자가의 능력 안에 소망이 있음을 믿어야 합니다.
- 현실 속에서의 소망: 불뱀이 들끓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구원의 장대는 높이 들렸습니다. 우리의 삶이 아무리 어렵고 절망적일지라도, 십자가는 항상 우리에게 소망의 표식으로 높이 들려 있습니다. 눈을 들어 주님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우리는 민수기 21장 8-9절 말씀을 통해, 죄의 결과로 인해 고통받는 현실 속에서도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바라볼' 때, 하나님이 주시는 영원한 생명과 구원을 얻을 수 있음을 확신하게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하나님은 왜 불뱀 형상을 사용하셨나요? 심판의 도구(불뱀)와 구원의 도구(놋뱀) 사이의 역설을 통해 인간의 생각과 다른 하나님의 구원 방식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죄의 상징을 사용하여 죄의 문제를 해결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고린도후서 5:21)을 예표합니다.
- '바라보는 것'은 왜 구원의 조건이 되었나요? '바라봄'은 단순히 보는 행위가 아닌,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그것에 의존하는 '믿음'을 상징합니다. 구원은 인간의 행위가 아닌, 오직 믿음으로 주어짐을 강조합니다.
- 이 놋뱀 사건이 예수님과 어떤 관련이 있나요? 예수님께서 요한복음 3장 14-15절에서 직접 자신을 광야의 놋뱀에 비유하셨습니다. 놋뱀이 들려 물린 자가 살았듯이,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들려 죄인들이 그를 믿음으로 영생을 얻게 하십니다.
- 오늘날 우리에게 놋뱀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오늘날 놋뱀은 우리 죄를 위해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합니다. 우리가 죄와 사망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눈을 들어 십자가의 예수님을 믿음으로 바라볼 때 구원을 얻습니다.
결론적으로, 민수기 21장 8-9절은 죄와 죽음 앞에서의 인간의 무력함과,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와 그가 정하신 방법(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바라봄)을 통해 구원이 임함을 분명히 선포하는 말씀입니다.
이 말씀을 깊이 묵상하며, 날마다 우리의 시선을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께 고정하고, 그를 믿음으로 바라봄으로써 하나님의 생명과 구원을 누리시기를 바랍니다.
'영어성경 > 구약-모세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명기 30장 19-20절 심층 분석: 생명의 선택과 하나님의 약속(히브리어 원문 영어 해석) (1) | 2025.05.18 |
---|---|
레위기 19장 17-18절 히브리어 영어 심층 해설: 마음의 미움 버리고 원수갚지않고 이웃 사랑하기 (3) | 2025.05.16 |
출애굽기 14:13-14: 홍해 앞에서 두려워 말고 가만히 서라, 여호와께서 싸우시리니 (히브리어/영어 분석) (3) | 2025.05.15 |
창세기 1장 27절 2장 24절 심층 해설: 하나님의 형상과 한 몸 히브리어, 영어 분석 (1) | 2025.05.14 |
부모 공경의 두 기둥: 신명기 5:16과 잠언 23:25 히브리어 & 영어 심층 분석 | 성경 연구 (2) | 2025.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