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성경/신약-4복음서-마태 마가 누가 요한

마가복음 11장 23-24절: 산을 옮기는 믿음, 구하는 대로 받는 기도 - 헬라어 원문 영어 해설, 현대적 적용

by 아!!^^라!! 2025. 4. 17.
반응형

마가복음 11장 23-24절은 믿음과 기도의 능력을 강조하는 예수님의 중요한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무엇이든지 기도하고 구하는 것은 받은 줄로 믿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그대로 되리라"는 약속은 흔들리지 않는 믿음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본 글에서는 이 두 구절의 헬라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심층적인 해설과 현대적 적용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삶에 주시는 메시지를 탐구합니다. 전문가적인 헬라어 및 영어 해석을 곁들여 깊이를 더했습니다.

 

 

📋 목차

 

 

1. 마가복음 11장 23절: 믿음의 능력

산도 옮길 수 있는 믿음: 의심하지 않고 믿는 자에게 주어지는 능력

산을 옮길만한 믿음으로 외쳐라

반응형

헬라어 원문: Ἀμὴν λέγω ὑμῖν ὅτι ὃς ἂν εἴπῃ τῷ ὄρει τούτῳ, Ἄρθητι καὶ βλήθητι εἰς τὴν θάλασσαν, καὶ μὴ διακριθῇ ἐν τῇ καρδίᾳ αὐτοῦ, ἀλλὰ πιστεύῃ ὅτι ἃ λαλεῖ γίνεται, ἔσται αὐτῷ.

헬라어 발음: 아멘 레고 휘민 호티 호스 안 에이페 테 오레이 투토, 아르데티 카이 블레데티 에이스 텐 달라싼, 카이 메 디아크리데 엔 테 카르디아 아우투, 알라 피스튜에 호티 하 랄레이 기네타이, 에스타이 아우토.

단어 분석:

헬라어 한국어 번역 설명
Ἀμὴν (아멘) 진실로 히브리어에서 유래, 강조와 확신의 표현, '진실로', '정말로'
λέγω (레고) 내가 말한다 1인칭 단수 현재 능동태 직설법, '레고' (말하다), 현재 시제로 예수님의 말씀을 강조
ὑμῖν (휘민) 너희에게 2인칭 복수 여격 대명사, 말씀을 듣는 대상 지칭
ὅτι (호티) ~라고, 왜냐하면 접속사, 뒤에 오는 내용을 설명하거나 인용
ὃς ἂν (호스 안) 누구든지 관계 대명사 + 불확실한 조건, '누구든지', '어떤 사람이든지'
εἴπῃ (에이페) 말하든지 3인칭 단수 가정법 능동태, '레고' (말하다), 불확실한 미래의 가능성
τῷ ὄρει (토 오레이) 이 산에게 정관사 + 명사 여격 단수, '오로스' (산), 특정한 산을 지칭
τούτῳ (투토) 지시 대명사 여격 단수, '이 산'을 구체적으로 지시
Ἄρθητι (아르데티) 들려 옮겨지라 2인칭 단수 수동태 명령법, '아이로' (들다, 옮기다), 수동태로 하나님의 능동적인 역사를 강조
καὶ (카이) 그리고 접속사, 문장 요소 연결
βλήθητι (블레데티) 던져지라 2인칭 단수 수동태 명령법, '발로' (던지다), 수동태로 하나님의 능동적인 역사를 강조
εἰς τὴν θάλασσαν (에이스 텐 달라싼) 바다에 전치사 + 정관사 + 명사 목적격 단수, '달랏사' (바다), 목적지를 나타냄
καὶ (카이) 그리고 접속사, 조건 추가
μὴ (메) ~하지 않고 부정 부사, 가정법과 함께 부정적인 조건 강조
διακριθῇ (디아크리데) 의심하지 3인칭 단수 가정법 수동태, '디아크리노' (의심하다, 망설이다), 마음의 상태를 나타냄
ἐν τῇ καρδίᾳ (엔 테 카르디아) 마음속에 전치사 + 정관사 + 명사 여격 단수, '카르디아' (마음), 내면의 중심
αὐτοῦ (아우투) 그의 3인칭 단수 남성 소유격 대명사, 주어를 가리킴
ἀλλὰ (알라) 오히려 대조 접속사, 앞의 부정적인 조건과 대조되는 긍정적인 조건 제시
πιστεύῃ (피스튜에) 믿고 3인칭 단수 가정법 능동태, '피스튜오' (믿다), 믿음의 중요성 강조
ὅτι (호티) ~라고 접속사, 믿음의 내용 인용
ἃ (하) 무엇 관계 대명사 목적격 복수, 믿음의 대상을 가리킴
λαλεῖ (랄레이) 말하는 것 3인칭 단수 현재 능동태 직설법, '랄레오' (말하다, 이야기하다), 말의 권능 강조
γίνεται (기네타이) 이루어진다 3인칭 단수 중간태/수동태 현재 직설법, '기노마이' (되다, 일어나다), 결과의 확실성 강조
ἔσται (에스타이) 될 것이다 3인칭 단수 중간태 미래 직설법, '에이미' (이다, 존재하다), 미래의 확실한 성취 약속
αὐτῷ (아우토) 그에게 3인칭 단수 남성 여격 대명사, 믿는 자를 가리킴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누구든지 마음속에 의심하지 아니하고 말하는 대로 될 것을 믿으면 그대로 되리라"

영어 번역 (NIV): "Truly I tell you, if anyone says to this mountain, ‘Go, throw yourself into the sea,’ and does not doubt in their heart but believes that what they say will happen, it will be done for them."

영어 번역 (KJV): "For verily I say unto you, That whosoever shall say unto this mountain, Be thou removed, and be thou cast into the sea; and shall not doubt in his heart, but shall believe that those things which he saith shall come to pass; he shall have whatsoever he saith."

 

  • doubt in their heart : 마음속에 의심하다
    • Represents lack of faith, wavering belief, and internal conflict that hinders the power of prayer.
  • believe that what they say will happen : 말하는 대로 될 것을 믿다
    • Signifies unwavering faith, confident expectation in God's power, and assurance that spoken words aligned with God's will have power.

 

마가복음 11장 23절에서 예수님은 "진실로" (Ἀμὴν, 아멘) 라는 단어로 시작하며 말씀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누구든지" (ὃς ἂν, 호스 안) "이 산에게" (τῷ ὄρει τούτῳ, 토 오레이 투토) 명령하여 "들려 옮겨져 바다에 던져지라" (Ἄρθητι καὶ βλήθητι εἰς τὴν θάλασσαν, 아르데티 카이 블레데티 에이스 텐 달라싼) 고 말하고, "마음속에 의심하지 않고" (καὶ μὴ διακριθῇ ἐν τῇ καρδίᾳ αὐτοῦ, 카이 메 디아크리데 엔 테 카르디아 아우투) "말하는 대로 될 것을 믿으면" (ἀλλὰ πιστεύῃ ὅτι ἃ λαλεῖ γίνεται, 알라 피스튜에 호티 하 랄레이 기네타이) "그대로 되리라" (ἔσται αὐτῷ, 에스타이 아우토) 고 약속하십니다.

 

해설:

마가복음 11장 23절은 믿음의 능력에 대한 강력한 선언입니다. 여기서 '산'은 우리가 삶에서 마주하는 크고 어려운 문제나 장애물을 상징합니다. 예수님은 이러한 '산'과 같은 문제에 대해서도 믿음으로 명령할 때, 그것이 옮겨지는 놀라운 역사가 일어날 수 있다고 가르치십니다. 중요한 것은 '마음속에 의심하지 않고' 믿는 것입니다. 헬라어 원어 '디아크리노'(διακρίνω)는 '둘로 나누다', '갈라지다'라는 의미로, 내적인 분열이나 의심 없이 온전한 믿음을 갖는 것을 강조합니다. 예수님은 믿음의 대상이 하나님이며, 그 믿음은 말의 권능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십니다.

 

전문가 해설: 헬라어 성경에서 '아멘'(Ἀμὴν)은 단순히 '동의'를 넘어 예수님의 말씀의 권위와 진실성을 보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호스 안'(ὃς ἂν)은 조건절에서 불특정 다수를 포함하는 '누구든지'를 의미하며, 믿음의 약속이 특정인에게만 국한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오로스'(ὄρος, 산)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삶의 거대한 난관이나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을 상징합니다. '피스튜오'(πιστεύω, 믿다)는 단순한 지적 동의를 넘어, 하나님께 대한 전적인 신뢰와 의탁을 의미합니다. 영어 성경에서 "doubt in their heart"는 'internal division', 'wavering belief' 와 같이 내적인 의심과 믿음의 흔들림을 강조하며, 온전한 믿음의 중요성을 부각합니다.

호스안-누구든지 기도하고 그대로 믿으면

 

2. 마가복음 11장 24절: 기도와 응답

 

구하는 대로 받으리라: 믿음으로 구하고 받은 줄로 믿는 기도

 

헬라어 원문: διὰ τοῦτο λέγω ὑμῖν, πάντα ὅσα ἂν προσεύχησθε καὶ αἰτεῖσθε, πιστεύετε ὅτι ἐλάβετε, καὶ ἔσται ὑμῖν.

헬라어 발음: 디아 투토 레고 휘민, 판타 호사 안 프로슈케스데 카이 아이테이스데, 피스튜에테 호티 엘라베테, 카이 에스타이 휘민.

단어 분석:

헬라어 한국어 번역 설명
διὰ τοῦτο (디아 투토) 그러므로 전치사 + 지시 대명사, 앞 문장과의 인과 관계, '이러한 이유로', '이 때문에'
λέγω (레고) 내가 말한다 반복, 예수님의 말씀 강조
ὑμῖν (휘민) 너희에게 반복, 말씀을 듣는 대상 강조
πάντα (판타) 무엇이든지 형용사 중성 복수, '모든 것', '전부'
ὅσα ἂν (호사 안) 무엇이든지 관계 대명사 + 불확실한 조건, '어떤 것들이든지', '무엇이든지'
προσεύχησθε (프로슈케스데) 기도하고 2인칭 복수 중간태/수동태 가정법, '프로슈코마이' (기도하다), 기도 행위 강조
καὶ (카이) 그리고 접속사, 기도와 구함을 연결
αἰτεῖσθε (아이테이스데) 구하는 2인칭 복수 중간태/수동태 가정법, '아이테오' (구하다, 요청하다), 구체적인 요청 강조
πιστεύετε (피스튜에테) 믿으라 2인칭 복수 현재 능동태 명령법, '피스튜오' (믿다), 믿음을 명령
ὅτι (호티) ~라고 접속사, 믿음의 내용 인용
ἐλάβετε (엘라베테) 받은 줄로 2인칭 복수 능동태 완료 직설법, '람바노' (받다, 취하다), 완료 시제로 이미 받은 것을 믿으라고 강조
καὶ (카이) 그리하면 접속사, 결과 제시
ἔσται (에스타이) 될 것이다 반복, 미래의 확실한 성취 약속
ὑμῖν (휘민) 너희에게 반복, 약속의 수혜자 강조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무엇이든지 기도하고 구하는 것은 받은 줄로 믿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그대로 되리라"

영어 번역 (NIV): "Therefore I tell you, whatever you ask for in prayer, believe that you have received it, and it will be yours."

영어 번역 (KJV): "Therefore I say unto you, What things soever ye desire, when ye pray, believe that ye receive them, and ye shall have them."

  • believe that you have received it : 받은 줄로 믿으라
    • Faith is not just hoping for something in the future, but believing with certainty that you have already received it in the spiritual realm.
  • it will be yours : 너희에게 그대로 되리라
    • The promise of answered prayer is conditional upon believing that you have already received what you asked for. God honors this kind of faith.

 

마가복음 11장 24절에서 예수님은 "그러므로" (διὰ τοῦτο, 디아 투토) 라는 접속사로 시작하여 앞 절의 믿음의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이어갑니다. "무엇이든지" (πάντα ὅσα ἂν, 판타 호사 안) "기도하고 구하는 것은" (προσεύχησθε καὶ αἰτεῖσθε, 프로슈케스데 카이 아이테이스데) "받은 줄로 믿으라" (πιστεύετε ὅτι ἐλάβετε, 피스튜에테 호티 엘라베테) "그리하면 너희에게 그대로 되리라" (καὶ ἔσται ὑμῖν, 카이 에스타이 휘민) 고 약속하십니다.

 

해설:

마가복음 11장 24절은 기도 응답의 핵심 원리를 제시합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기도할 때 단순히 소원을 아뢰는 것을 넘어, 이미 '받은 줄로 믿으라'고 명령하십니다. 헬라어 원어 '엘라베테'(ἐλάβετε)는 완료 시제로, 기도 응답이 이미 영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졌음을 믿으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미래에 대한 막연한 기대가 아니라, 현재적인 확신을 가지고 기도하라는 것입니다. '프로슈코마이'(προσεύχομαι, 기도하다)는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를, '아이테오'(αἰτέω, 구하다)는 구체적인 필요를 간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믿음으로 기도하고, 응답을 확신할 때, 하나님의 약속대로 '그대로 되리라'는 것입니다.

 

전문가 해설: 마가복음 11장 24절은 '믿음의 기도'의 핵심 구절로, 기도의 효력은 단순히 간구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받은 줄로 믿는' 믿음에 있음을 강조합니다. '프로슈케스데 카이 아이테이스데'(προσεύχησθε καὶ αἰτεῖσθε)는 기도와 간구를 포괄하는 표현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모든 필요를 아뢰는 것을 의미합니다. '피스튜에테'(πιστεύετε, 믿으라)는 현재 명령형으로, 지속적이고 능동적인 믿음을 요구합니다. '엘라베테'(ἐλάβετε, 받은 줄로)는 완료 시제 직설법으로, 기도 응답에 대한 확신을 현재적으로 가지라는 도전입니다. 영어 성경에서 "believe that you have received it"는 'faith as present possession', 'taking hold of God's promise by faith' 와 같이 믿음을 현재적인 소유로 경험하고, 하나님의 약속을 믿음으로 붙잡는 것을 강조합니다.

피스튜에테 - 믿으라 지속적이고 능동적으로

 

 

3. 결론 및 적용

 

마가복음 11장 23-24절은 믿음과 기도의 능력을 통해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하나님의 약속을 담고 있습니다. 23절에서는 산을 옮기는 믿음의 능력을, 24절에서는 기도 응답의 확신을 강조하며, 이 두 구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마가복음 11장 23-24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믿음의 중요성: 하나님을 향한 흔들리지 않는 믿음은 기도의 능력을 발휘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의심을 버리고 온전한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 기도의 능력: 기도는 단순한 소원 전달이 아닌,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는 통로입니다. 믿음으로 기도할 때, 불가능해 보이는 문제도 해결될 수 있습니다.
  • 말의 권능: 믿음의 말은 능력이 있습니다. 부정적인 말 대신,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선포하는 긍정적인 말을 사용해야 합니다.
  • 현재적 믿음: 기도할 때, 미래의 응답을 기대하는 것을 넘어, 이미 받은 줄로 믿는 현재적인 믿음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마가복음 11장 23-24절 말씀을 통해, 날마다 믿음으로 기도하고, 말의 권능을 사용하여,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4. 마가복음 11:23-24 현대적 적용

 

마가복음 11장 23-24절의 약속은 2000년 전 예수님 시대뿐 아니라, 21세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이 구절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개인의 삶의 변화

  • 문제 해결: 직면한 어려움이나 문제에 대해 믿음으로 기도하고, 해결될 것을 확신하며 나아갈 수 있습니다.
  • 소망 회복: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믿음의 기도를 통해 소망을 잃지 않고, 하나님의 역사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긍정적 태도: 부정적인 생각과 말 대신, 믿음의 말을 사용하여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공동체와 사회 변화

  • 공동체 기도: 교회와 공동체가 함께 믿음으로 기도할 때, 공동체의 문제와 필요를 해결받을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영향력: 사회의 불의와 어려움에 대해 믿음으로 기도하며,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복음 전파: 믿음의 기도를 통해 복음 전도의 문이 열리고, 하나님의 나라가 확장되는 역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 해설: 현대 사회는 불확실성과 경쟁 속에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합니다. 마가복음 11장 23-24절은 이러한 시대 속에서 우리에게 믿음과 기도가 개인과 사회 변화의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합니다. 개인의 삶에서부터 공동체, 사회에 이르기까지, 믿음의 기도는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됩니다. 영어권에서는 "Faith-based initiatives" 와 같은 운동들이 마가복음 11:23-24의 메시지를 바탕으로 사회 변화를 추구하며, 믿음의 공동체가 세상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강조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받은 줄로 믿으라"는 것은 맹목적인 믿음을 의미하나요? 아닙니다. 하나님의 뜻과 일치하는 것을 구하고, 그분의 성품과 약속을 신뢰하는 믿음입니다. 맹목적인 믿음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온전한 신뢰를 의미합니다.
  • 기도했는데 응답받지 못하는 경우는 왜 그런가요? 응답의 시기와 방법은 하나님의 주권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의 믿음이 부족하거나, 하나님의 뜻과 다른 것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인내하며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믿음의 기도는 모든 것을 다 이루어주나요? 믿음의 기도는 강력한 능력이 있지만, 하나님의 주권과 뜻 안에서 응답됩니다. 개인의 욕심이나 잘못된 동기로 구하는 것은 응답받기 어렵습니다.
  • 마가복음 11장 23-24절은 물질적인 축복만을 의미하나요? 아닙니다. 물질적인 축복뿐 아니라, 영적인 성장, 관계 회복, 문제 해결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하나님의 은혜를 포함합니다. 더 넓은 의미에서의 축복을 약속하는 구절입니다.

결론적으로, 마가복음 11장 23-24절은 믿음과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고, 개인과 세상을 변화시키는 삶을 살도록 도전합니다. "받은 줄로 믿는" 믿음으로 기도하며,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하고 나아갈 때, 우리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놀라운 역사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이 말씀을 깊이 묵상하고, 날마다 믿음으로 기도하며,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는 삶을 살아가십시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