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성경/구약-대예언서-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애가 에스겔 다니엘

다니엘 3장 17-18절: '그리 아니하실지라도'의 불굴의 신앙(히브리어 원문 영어 심층해설)

by 아람드리! 2025. 6. 26.
반응형

다니엘 3장 17-18절은
불확실한 미래 앞에서도 흔들림 없는 신앙을 고백하는 샤드락, 메삭, 아벳느고의 위대한 선언을 담고 있습니다.

느부갓네살 왕의 우상숭배 명령에 직면한 이들은, 하나님께서 자신들을 구원하실 능력이 있으심을 믿으면서도, 설령 구원하지 않으신다 할지라도 결코 우상에게 절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결단을 보여줍니다.


본 글에서는 이 두 구절의 히브리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심층적인 해설과 현대적 적용을 통해 오늘날 우리의 믿음에 주시는 메시지를 탐구합니다. 전문가적인 히브리어 및 영어 해석을 곁들여 깊이를 더했습니다.

 

 

📋 목차

 

 

1. 다니엘 3장 17절: 구원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

능력의 하나님을 향한 확신: 구원하실 수 있다

반응형

느부갓네살 왕의 금 신상 앞에서 절하지 않고 당당히 서 있는 샤드락, 메삭, 아벳느고 세 청년의 모습

히브리어 원문: הֵן אִיתַי לַהֶן אֱלָהַנָא דִּי פָלְחִין אֲנַחְנָא יָכִיל לְשֵׁיזָבוּתַנָא מִן אַתּוּן נוּרָא יָקִדְתָּא וּמִן יְדָךְ מַלְכָּא יְשֵׁיזְבִנַּנָא׃

한국어 발음: 헨 이타이 라헨 엘라하나 디 팔힌 아나흐나 야킬 레셰이자부타나 민 앗툰 누라 야키드타 우민 예다크 말카 예셰이즈빈난나.

단어 분석:

아람어 한국어 번역 설명
הֵן (헨) 만일 ~라면, 보라 강조 또는 조건의 접속사
אִיתַי לַהֶן (이타이 라헨) 우리의 하나님이 계시다 '~이 있다' + '우리에게' (즉, 우리의 하나님이)
אֱלָהַנָא (엘라하나) 우리의 하나님 '하나님' (אֱלָה) + 1인칭 복수 대명사 접미사
דִּי (디) ~이 (관계 대명사) '누구든지', '무엇이든지'
פָלְחִין אֲנַחְנָא (팔힌 아나흐나) 우리가 섬기는 '섬기다'의 분사형 + '우리' (주격 대명사)
יָכִיל (야킬) 능히 ~할 수 있다 동사 '야칼' (능히 ~하다)의 미완료형, 능력을 나타냄
לְשֵׁיזָבוּתַנָא (레셰이자부타나) 우리를 구원하다 전치사 '레' + 동사 '셰이자브' (구원하다)의 부정사
מִן אַתּוּן נוּרָא יָקִדְתָּא (민 앗툰 누라 야키드타) 맹렬히 타는 풀무불에서 '~로부터' + '풀무불' + '맹렬히 타는'
וּמִן יְדָךְ מַלְכָּא (우민 예다크 말카) 그리고 왕의 손에서 '그리고 ~로부터' + '너의 손' + '왕이여'
יְשֵׁיזְבִנַּנָא (예셰이즈빈난나) 그는 우리를 구원하실 것입니다 동사 '셰이자브' (구원하다)의 미래형, 확신에 찬 표현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왕이여 우리가 섬기는 우리 하나님이 우리를 맹렬히 타는 풀무불 가운데서 능히 건져내시겠고 왕의 손에서도 건져내실 것입니다"

영어 번역 (NIV): "If we are thrown into the blazing furnace, the God we serve is able to deliver us from it, and he will deliver us from Your Majesty’s hand."

영어 번역 (KJV): "If it be so, our God whom we serve is able to deliver us from the burning fiery furnace, and he will deliver us out of thine hand, O king."

 

  • If we are thrown into the blazing furnace (이프 위 아 쓰로운 인투 더 블레이징 퍼니스): 만일 우리가 맹렬히 타는 풀무불에 던져진다면
    • Sets the immediate, life-threatening context of their declaration of faith.
  • the God we serve is able to deliver us (더 갓 위 서브 이즈 에이블 투 딜리버 어스): 우리가 섬기는 하나님은 우리를 구원하실 수 있습니다
    • Expresses absolute confidence in God's power and capability to intervene in their extreme situation.

 

다니엘 3장 17절은 샤드락, 메삭, 아벳느고가 느부갓네살 왕 앞에서 보인 담대한 믿음의 첫 번째 선언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섬기는 하나님이 맹렬히 타는 풀무불에서뿐 아니라, 강력한 왕의 손에서도 자신들을 능히 건져내실 것이라는 확신을 표명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전능하신 능력과 주권에 대한 깊은 신뢰를 보여주는 구절입니다.

 

해설:

이 구절은 극한의 위기 상황에서 세 친구가 보여준 확고한 믿음의 시작점입니다. 그들은 느부갓네살 왕의 명령을 거부할 경우 직면할 죽음의 위협, 즉 "맹렬히 타는 풀무불"과 "왕의 손"이라는 두 가지 위협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의 하나님이 이 모든 위협으로부터 능히 건져내실 수 있음을 믿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가능성'을 넘어선 '확신'입니다. '건져내시겠고'와 '건져내실 것입니다'라는 표현은 자신들이 믿는 하나님의 능력이 반드시 현실화될 것이라는 강한 믿음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을 단순히 능력 있는 존재로 아는 것을 넘어, 그 능력이 자신들에게 임하여 구원을 이루실 것이라는 인격적인 신뢰를 보여줍니다.

 

전문가 해설: 다니엘서 2장 4b절부터 7장 28절까지는 히브리어가 아닌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구절 역시 아람어 원문입니다. 여기서 'יָכִיל'(야킬)은 '능히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하나님의 전능성을 강조하며, 'יְשֵׁיזְבִנַּנָא'(예셰이즈빈난나)는 '그가 우리를 구원할 것이다'라는 미래형 동사로 단순한 희망이 아닌 확고한 믿음과 예언적 확신을 담고 있습니다. 이들은 하나님이 단순히 피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그들을 구원하실 주권적인 능력자임을 선포합니다. 왕의 권력과 폭정 앞에서도 하나님의 능력을 선포함으로써, 자신들의 순종이 인간 권력에 대한 복종이 아니라 더 높은 신적 권위에 대한 복종임을 명확히 합니다. 이는 당시 바벨론 제국의 우상숭배 강요에 대한 강력한 신학적 반박이었습니다.

 

2. 다니엘 3장 18절: 구원하지 않으셔도 변치 않는 신앙

 

궁극적인 신앙 고백: 결과에 상관없이

맹렬히 타는 풀무불 속에서 불에 타지 않고 걸어 다니는 샤드락, 메삭, 아벳느고와 그들 옆에 함께 있는 신비로운 네 번째 인물

히브리어 원문: וְהֵן לָא יְדִיעַ לֶהֱוֵי לָךְ מַלְכָּא דִּי אֱלָהָיִךְ לָא נִפְלַח וּלְצֶלֶם דַּהֲבָא דִּי הֲקֵימְתָּ לָא נִסְגֻּד׃

한국어 발음: 베헨 라 예디아 레헤베이 라크 말카 디 엘라하이크 라 니플라흐 우레젤렘 다하바 디 하케이므타 라 니스구드.

단어 분석:

아람어 한국어 번역 설명
וְהֵן לָא (베헨 라) 그렇지 않을지라도 / 만일 ~이 아니라면 접속사 '그리고' + '만일' + '아니다', 이전 구절과 대조를 이룸
יְדִיעַ לֶהֱוֵי לָךְ (예디아 레헤베이 라크) 왕이여 아옵소서 / 분명히 아소서 '알려진' + '있게 되다' + '너에게', 왕에게 분명히 알림
מַלְכָּא (말카) 왕이여 명사 '왕'의 호격
דִּי (디) ~이 (접속사) '~라는 것'
אֱלָהָיִךְ לָא נִפְלַח (엘라하이크 라 니플라흐) 우리는 왕의 신들을 섬기지 아니할 것이요 '너의 신들' + '아니다' + '우리가 섬길 것이다' (부정 미래)
וּלְצֶלֶם דַּהֲבָא (우레젤렘 다하바) 그리고 금 신상에게 '그리고 ~에게' + '신상' + '황금의'
דִּי הֲקֵימְתָּ (디 하케이므타) 왕이 세우신 '~이' + '왕이 세우다' (완료형)
לָא נִסְגֻּד (라 니스구드) 우리는 절하지 아니할 것입니다 '아니다' + '우리가 절할 것이다' (부정 미래)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그리 아니하실지라도 왕이여 우리가 왕의 신들을 섬기지도 아니하고 왕이 세우신 금 신상에게 절하지도 아니할 줄을 아옵소서"

영어 번역 (NIV): "But even if he does not, we want you to know, Your Majesty, that we will not serve your gods or worship the image of gold you have set up."

영어 번역 (KJV): "But if not, be it known unto thee, O king, that we will not serve thy gods, nor worship the golden image which thou hast set up."

  • But even if he does not (벗 이븐 이프 히 더즈 낫): 그러나 그분이 그리하지 않으실지라도
    • This is the pivotal phrase, signifying an unconditional faith that transcends desired outcomes. It acknowledges God's sovereignty over life and death.
  • that we will not serve your gods or worship the image of gold you have set up (댓 위 윌 낫 서브 유어 가즈 오어 워십 디 이미지 오브 골드 유 해브 셋 업): 우리는 왕의 신들을 섬기거나 왕이 세우신 금 신상에 절하지 않을 것입니다
    • A clear and defiant refusal to compromise their faith, demonstrating ultimate loyalty to God alone.

 

다니엘 3장 18절은 샤드락, 메삭, 아벳느고의 신앙 고백의 정점입니다. 이들은 하나님이 자신들을 구원하실 능력이 있으심을 믿으면서도, 설령 그분께서 구원하지 않으실지라도 왕의 신들을 섬기거나 금 신상에 절하지 않겠다는 초월적인 믿음과 확고한 의지를 드러냅니다. 이는 결과에 굴하지 않는 진정한 신앙의 본질을 보여줍니다.

 

해설:

이 구절은 다니엘 3장 전체의 핵심이자, 신앙의 가장 높은 경지를 보여줍니다. "그리 아니하실지라도"라는 조건절은 구원의 결과에 관계없이 오직 하나님께 대한 충성만을 선택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단순히 기적을 바라는 믿음을 넘어,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를 온전히 받아들이는 순종적인 믿음입니다. 이들은 구원을 받지 못해 죽음에 이르게 될지라도, 우상숭배를 택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선을 긋습니다. 그들의 믿음은 조건적이거나 보상에 기반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의 생명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순종이었고, 오직 한 분 하나님만을 섬기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무조건적인 신앙은 진정한 예배와 충성의 모범이 됩니다.

 

전문가 해설: 17절의 'יְשֵׁיזְבִנַּנָא'(그가 우리를 구원할 것이다)라는 확신에 찬 표현 뒤에 18절의 'וְהֵן לָא'(베헨 라, 그러나 만일 ~이 아니라면)가 오는 것은 신앙의 깊이를 더합니다. 'לָא'(라)는 아람어에서 강력한 부정 표현으로, '절대 ~않을 것이다'라는 단호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왕이 세우신 금 신상에게 절하지도 아니할 줄을 아옵소서"는 왕의 권위를 정면으로 부인하고 오직 하나님의 절대적인 권위만을 인정하겠다는 고백입니다.

 

이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선택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목적과 정체성이 어디에 있는지를 분명히 밝히는 신학적인 선언입니다. 인간의 조건적인 행위가 아닌,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과 그에 대한 무조건적인 순종이 진정한 믿음의 본질임을 이 구절은 역설하고 있습니다. 영어 번역의 "But even if he does not"은 이러한 아람어 원문의 강력한 의지와 무조건적인 신앙을 잘 포착하여 전달합니다.

역경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신앙

 

 

3. 결론 및 적용

 

다니엘 3장 17-18절은 신앙인의 삶에서 가장 강력하고 감동적인 고백 중 하나입니다. 샤드락, 메삭, 아벳느고는 하나님의 구원 능력에 대한 확신뿐 아니라, 설령 그 능력이 자신들에게 임하지 않더라도 오직 하나님께만 충성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이 구절들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다니엘 3장 17-18절은 오늘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적용점을 제시합니다:

  • 결과를 초월하는 믿음: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기도에 응답하시고 문제를 해결해주실 것을 믿어야 하지만, 그 결과가 우리의 기대와 다르더라도 하나님께 대한 신뢰와 순종이 변치 않아야 합니다. 우리의 믿음은 '만약 ~라면'이 아니라, '그리 아니하실지라도'에 뿌리내려야 합니다.
  • 담대한 신앙 고백: 세상의 압력과 타협의 유혹 속에서도 자신의 믿음을 분명히 고백하고, 하나님 외에 다른 어떤 권위나 대상을 섬기지 않겠다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이는 직장, 학업, 사회생활 등 모든 영역에서 적용됩니다.
  • 하나님의 주권 인정: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실 수도, 구원하지 않으실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과 섭리를 인정하는 것입니다. 모든 결과가 하나님의 선하신 뜻 안에 있음을 신뢰해야 합니다.
  • 진정한 예배자의 삶: 이 구절은 진정한 예배가 무엇인지 보여줍니다. 예배는 결과에 따른 보상이 아닌, 오직 하나님 한 분만을 위한 무조건적인 충성과 존경의 표현입니다.
  • 정직하고 일관된 삶: 신앙인의 삶은 말과 행동이 일치해야 합니다. 풀무불 앞에서 생명을 걸고 고백한 이들의 일관된 믿음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변치 않는 정직함을 요구합니다.

우리는 다니엘 3장 17-18절 말씀을 통해, 어떤 상황과 결과에도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믿음의 토대를 세우고,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담대히 지켜나가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다니엘 3장 17-18절이 왜 중요한 구절인가요? 이 구절은 보상이나 결과에 관계없이 오직 하나님께 대한 절대적인 충성과 믿음을 고백하는 가장 강력한 본문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진정한 신앙의 본질을 보여줍니다.
  • 다니엘서 3장 17-18절은 히브리어인가요, 아람어인가요? 다니엘서 2장 4b절부터 7장 28절까지는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 구절 역시 아람어 원문입니다. 당시 바벨론 제국의 공식 언어 중 하나였습니다.
  • "그리 아니하실지라도"는 어떤 의미를 내포하나요? 하나님께서 기적적으로 구원하지 않으시고, 죽음을 허락하실지라도 자신들의 신앙과 순종은 변치 않을 것이라는 고백입니다. 이는 하나님이 자신의 기대에 부응하지 않으실지라도 그분의 주권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겠다는 궁극적인 믿음을 의미합니다.
  • 이 구절이 현대인의 삶에 어떤 교훈을 주나요? 오늘날에도 우리는 다양한 형태의 '우상'과 압력에 직면합니다. 이 구절은 우리가 세상의 유혹과 타협하지 않고, 결과에 연연하지 않으며, 오직 하나님께만 충성하는 삶의 태도를 유지해야 함을 가르쳐 줍니다.

결론적으로, 다니엘 3장 17-18절은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신앙을 지켜낼 용기와 지혜를 주는 말씀입니다.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을 신뢰하되, 그분의 뜻이 우리의 바람과 다를지라도 끝까지 충성하는 것이 진정한 믿음임을 가르쳐 줍니다.

이 말씀을 깊이 묵상하고, 날마다 삶의 도전 앞에서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는 견고한 신앙을 고백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